탄흔
탄흔은 총기류 등의 화기에 의해 발사된 탄환 또는 파편이 물체 표면에 충돌하면서 남기는 자국이나 흔적을 의미한다. 탄흔은 탄환의 종류, 발사 각도, 거리, 표면의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특징을 보인다. 탄흔은 법의학, 범죄 수사, 전쟁 범죄 조사 등에서 중요한 증거자료로 활용된다.
탄흔의 종류 및 특징
- 관통흔: 탄환이 물체를 완전히 뚫고 지나간 흔적. 입구와 출구의 모양, 크기 등을 통해 탄환의 종류와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 비관통흔: 탄환이 물체를 뚫지 못하고 표면에 충돌한 흔적. 탄환의 운동 에너지가 소진되어 튕겨나가거나 박힌 형태로 남는다.
- 스침흔: 탄환이 물체 표면을 스치고 지나간 흔적. 표면의 재질에 따라 긁힌 자국, 파편 등이 남을 수 있다.
- 탄착군: 여러 발의 탄환이 한 지점에 집중적으로 명중한 흔적. 사격 실력, 총기의 정확도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탄흔 분석
탄흔 분석은 탄흔의 형태, 크기, 깊이, 방향 등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분석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탄환의 종류: 탄흔의 크기와 형태를 통해 사용된 탄환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 발사 각도 및 거리: 탄흔의 모양과 주변의 흔적을 통해 발사 각도와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 총기의 종류: 탄흔에 남은 강선 흔적 등을 통해 사용된 총기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 사건 재구성: 탄흔의 위치와 형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건 발생 당시의 상황을 재구성할 수 있다.
탄흔의 법적 의미
탄흔은 법정에서 중요한 증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탄흔 분석 결과를 통해 범죄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용의자를 특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전쟁 범죄 조사에서는 탄흔 분석을 통해 민간인 학살 등의 증거를 확보할 수 있다.
주의 사항
탄흔은 훼손되기 쉬우므로, 발견 즉시 보존 조치를 취해야 한다. 사진 촬영, 스케치, 위치 기록 등을 통해 탄흔의 원형을 보존하고, 전문적인 감식반의 조사를 통해 정확한 분석을 수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