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키질

키질은 곡식 따위의 알갱이를 까불러 쭉정이나 티끌 등을 골라내는 일, 또는 그 도구를 의미한다.

어원

키질의 정확한 어원은 명확하지 않으나, 곡물을 까불러 낱알을 고르는 행위와 관련된 순우리말로 추정된다.

방법

키질은 주로 바람을 이용하여 알곡과 쭉정이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키나 풍구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곡물을 공중에 흩뿌려 가벼운 쭉정이나 티끌은 바람에 날려 보내고, 무거운 알곡은 아래로 떨어지게 하여 분리한다.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바람의 방향과 세기, 곡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여야 효율적인 키질이 가능하다.

도구

  • 키: 얇게 쪼갠 대오리나 싸리 등으로 둥글넓적하게 만든 도구. 곡식을 담아 흔들어 까불거나 쌀을 일 때 사용한다.
  • 풍구: 바람개비 원리를 이용하여 바람을 일으켜 곡식을 까불러 알곡과 쭉정이를 분리하는 농기구.

문화적 의미

키질은 단순히 곡물을 선별하는 작업을 넘어, 불필요한 것을 제거하고 가치 있는 것을 취하는 행위의 비유로 사용되기도 한다. 속담이나 관용구에서 ‘키질하다’는 표현은 옳고 그름을 가려내거나 불필요한 것을 제거하는 의미로 쓰인다. 또한, 과거 농경 사회에서 키질은 중요한 농사일 중 하나였으며, 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협력하여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 항목

  • 농업
  • 탈곡
  • 곡물
  • 풍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