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2건

친수성

친수성(親水性, hydrophilicity)은 물과의 친화성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물질의 표면이나 분자가 물 분자와 강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주로 수소 결합, 이온-쌍극자 상호작용,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등을 통해 발생한다. 친수성 물질은 물에 잘 녹거나, 물 표면에 잘 흡착되는 경향을 보인다.

친수성의 반대 개념은 소수성(疎水性, hydrophobicity)이다. 소수성 물질은 물과의 상호작용이 약하여 물에 잘 녹지 않고 물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친수성을 갖는 물질의 예:

  • 이온성 화합물: NaCl (소금)과 같은 이온성 화합물은 물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와 강한 이온-쌍극자 상호작용을 형성하여 물에 잘 녹는다.
  • 극성 분자: 설탕(자당)과 같은 극성 분자는 물 분자와 수소 결합을 형성하여 물에 잘 녹는다.
  • 일부 고분자: 셀룰로오스와 같은 일부 고분자는 친수성 작용기를 가지고 있어 물에 잘 녹거나 흡수될 수 있다.

친수성의 측정:

친수성의 정도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의 접촉각, 용해도, 표면장력 등을 측정하여 친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물질의 화학적 구조와 친수성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재료 과학, 생화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다.

관련 용어:

  • 소수성
  • 계면활성제
  • 젖음성

참고 문헌: (추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