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취수관

취수관은 하천, 호수, 저수지 등 수원으로부터 물을 끌어들이기 위해 설치하는 관로 또는 구조물을 말한다. 취수원은 자연적인 수원 외에도 댐이나 보와 같은 인공적인 시설을 포함할 수 있다. 취수관은 정수장,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 다양한 용도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필수적인 시설이다.

기능 및 구성 요소

취수관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취수: 수원으로부터 필요한 양의 물을 안전하게 끌어오는 기능
  • 이물질 차단: 흙, 모래, 부유물 등 수원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취수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 수질 보호: 취수 과정에서 수질 오염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수질을 유지하는 기능

취수관은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 취수구: 수원에 직접 접촉하여 물을 끌어들이는 입구 부분. 취수구에는 스크린이나 격자 등을 설치하여 큰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다.
  • 취수관로: 취수구에서 취수한 물을 정수장이나 기타 용수 공급 시설로 이송하는 관로. 재질은 주로 철, 콘크리트, PE 등이 사용된다.
  • 취수탑 (선택적): 수위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취수를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 저수지나 호수 등 수심이 깊은 수원에서 주로 사용된다.
  • 펌프장 (선택적): 자연 유하 방식으로 취수가 불가능한 경우, 펌프를 사용하여 물을 끌어올리는 시설.

설계 고려 사항

취수관 설계 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 수원의 특성: 수량, 수질, 수심 변화 등을 고려하여 취수 위치 및 취수량 결정
  • 지형 조건: 지형의 높낮이, 토질 등을 고려하여 취수관로의 경로 및 매설 깊이 결정
  • 환경 영향: 취수 과정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
  • 경제성: 건설 비용, 유지 관리 비용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설계 방안 선택
  • 안전성: 지진, 홍수 등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

종류

취수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표면 취수: 수면 가까이에서 물을 취수하는 방식. 하천이나 저수지에서 주로 사용된다.
  • 심층 취수: 수심 깊은 곳에서 물을 취수하는 방식. 수온이 안정적이고 수질이 양호한 심층수를 취수할 때 사용된다.
  • 하상 취수: 하천 바닥에 취수 시설을 설치하여 물을 취수하는 방식.

관련 법규

취수 시설 설치 및 운영에 관련된 법규는 다음과 같다.

  • 수도법: 상수도 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사항 규정
  • 하천법: 하천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규정
  • 댐건설법: 댐 건설 및 관리에 관한 사항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