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32건

체관부

체관부 (篩管部, phloem)는 관다발식물에서 물관부와 함께 식물체의 줄기, 뿌리, 잎 등 모든 기관에 분포하며, 광합성으로 생성된 유기 양분을 식물체의 다른 부분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조직이다.

개요

체관부는 살아있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구성 세포로는 체관 세포, 반세포, 체관부 유조직, 체관부 섬유 등이 있다. 체관 세포는 길쭉한 모양의 세포로, 세포벽에는 체판이라는 구멍이 뚫린 특수한 구조가 존재한다. 체판은 인접한 체관 세포 사이의 원형질 연락 통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유기 양분의 이동이 가능하다. 반세포는 체관 세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체관 세포의 생존과 기능 유지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체관부 유조직은 유기 양분의 저장 및 수송을 보조하며, 체관부 섬유는 체관부에 강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구조와 기능

체관부의 주요 기능은 광합성 산물인 설탕, 아미노산 등 유기 양분을 식물체의 생장, 저장, 대사에 필요한 다른 부분으로 수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송은 원천(source, 잎)에서 저장 기관(sink, 뿌리, 열매 등)으로 이루어지며, 압력 흐름 가설에 따라 설명된다. 원천에서 광합성 산물이 체관부로 능동 수송되면, 체관부의 삼투압이 증가하여 물이 물관부로부터 체관부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체관부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고, 높아진 압력으로 인해 유기 양분이 체관부를 따라 저장 기관으로 이동하게 된다. 저장 기관에서는 유기 양분이 소비되거나 저장되면서 삼투압이 감소하고, 물이 다시 물관부로 이동하여 압력이 감소한다. 이러한 압력 차이에 의해 유기 양분의 지속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기타

체관부의 기능은 식물체의 생존과 성장에 필수적이며, 해충이나 질병으로 인해 체관부가 손상될 경우 식물체는 생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체관부는 식물의 잎말이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와 같은 곤충 매개 바이러스의 이동 통로로도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