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척도

척도(尺度)는 어떤 대상의 크기, 정도, 양 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또는 단위를 말한다.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척도가 존재하며, 척도의 종류에 따라 측정 결과의 해석 방법과 가능한 통계 분석 방법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척도는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의 네 가지로 분류된다.

  • 명목척도 (Nominal Scale): 대상을 범주화하거나 분류하기 위한 척도로, 숫자는 단순히 이름이나 범주를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숫자 사이에는 크기나 순서의 의미가 없다. 예를 들어, 성별(1: 남성, 2: 여성), 종교 등이 명목척도의 예시이다.

  • 서열척도 (Ordinal Scale): 대상을 순서대로 배열하기 위한 척도로, 숫자는 대상의 상대적인 순위를 나타낸다. 하지만 숫자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다. 예를 들어, 만족도 조사에서 "매우 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과 같이 순위를 나타내는 경우가 서열척도이다. "매우 만족"과 "만족"의 차이가 "만족"과 "보통"의 차이와 같다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 등간척도 (Interval Scale): 대상의 크기를 측정하며, 숫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다. 그러나 절대적인 영점(0)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섭씨 온도는 등간척도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0℃는 물이 어는 점을 나타내지만, 온도가 없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20℃는 10℃의 두 배의 온도라고 할 수 없다.

  • 비율척도 (Ratio Scale): 대상의 크기를 측정하며, 숫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고 절대적인 영점(0)이 존재한다. 영점은 측정 대상의 완전한 부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키, 몸무게, 나이 등이 비율척도에 해당한다. 180cm는 90cm의 두 배의 키를 의미한다.

척도의 선택은 연구 목적과 측정 대상의 특성에 따라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적절한 척도를 선택하지 않으면 측정 결과의 해석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