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책정

책정이란 어떤 대상의 가격, 가치, 수량 등을 정하여 결정하는 행위를 말한다. 주로 경제, 회계, 금융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넓게는 정책 결정이나 목표 설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개요

책정은 대상의 특성, 시장 상황, 관련 법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합리적인 책정은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정한 거래를 가능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경제 주체들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한다. 반면, 부적절한 책정은 시장 왜곡, 불공정 경쟁, 소비자 피해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책정의 종류

책정은 대상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가격 책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하는 행위. 시장 가격, 생산 비용, 경쟁 상황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 가치 책정: 자산, 기업, 프로젝트 등의 가치를 평가하는 행위. 미래 현금 흐름, 위험 요소,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 수량 책정: 생산량, 판매량, 재고량 등을 결정하는 행위. 수요 예측, 생산 능력, 재고 관리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 정책 책정: 정부나 기관이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결정하는 행위. 사회적 필요, 경제적 영향, 정치적 고려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책정 방법

책정 방법은 대상과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 원가 가산 방식: 제품의 원가에 일정 마진을 더하여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
  • 경쟁 기반 방식: 경쟁사의 가격을 고려하여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
  • 수요 기반 방식: 수요 탄력성에 따라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
  • 가치 기반 방식: 고객이 인식하는 가치를 기준으로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

같이 보기

  • 가격 결정
  • 가치 평가
  • 예산 편성
  • 정책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