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명정전
창경궁 명정전(昌慶宮 明政殿)은 조선 창경궁의 정전(正殿)이다. 창경궁의 중심 건물로서,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신의 접견 등 공식적인 의례를 거행하던 곳이다. 국보 제226호로 지정되었다.
역사
명정전은 원래 1484년(성종 15년)에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이후 1616년(광해군 8년)에 재건되었으며, 이때 건물의 규모가 축소되었다. 명정전은 창경궁 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조선시대 궁궐 건축의 초기 양식을 잘 보여준다.
건축적 특징
명정전은 단층 팔작지붕 건물이다.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홑처마를 사용했다. 다른 궁궐의 정전에 비해 규모가 작은 편이지만, 소박하고 간결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특히 명정전 앞마당은 박석(薄石)으로 포장되어 있는데, 이는 궁궐 건축에서는 흔치 않은 사례이다. 박석은 햇빛의 난반사를 막고, 빗물이 잘 스며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의미
명정전은 조선시대 궁궐 건축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공간으로서, 조선시대 정치와 사회의 중심 역할을 담당했다. 명정전은 현재 창경궁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에게 역사 교육의 장으로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