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조모
증조모는 본인(나)을 기준으로 할 때, 본인의 조부모의 어머니를 가리키는 칭호이다. 즉, 본인의 아버지의 할머니 또는 본인의 어머니의 외할머니/친할머니를 의미한다. 이는 4촌 관계에 해당하며, 본인으로부터는 3세대가 위에 있는 관계이다. 증조모의 배우자는 증조부라고 한다.
개념 및 관계 가족 관계에서 증조모는 본인보다 3세대가 위의 직계 존속이다. 본인을 1세대로 할 때, 부모는 2세대, 조부모는 3세대, 증조부모는 4세대가 된다. 따라서 증조모는 4세대에 해당한다. 본인은 증조모의 증손(曾孫) 또는 증손녀(曾孫女)가 된다. 증조모의 부모는 고조부와 고조모가 된다.
어원 '증조모'는 한자 '曾祖母'에서 유래한다.
- 曾(증): 거듭하다, 두 번 겹치다. 여기서는 조부모보다 두 단계 위를 의미한다.
- 祖(조): 할아버지, 조상.
- 母(모): 어머니. 즉, 조부모의 어머니를 뜻하며, 이는 '할아버지의 어머니' 또는 '할머니의 어머니'를 통해 본인에게 연결되는 관계를 나타낸다.
문화적 의미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직계 존속에 대한 존경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증조모는 가계(家系)에서 윗 항렬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후손들에게는 존경과 공경의 대상이다. 과거에는 대가족 제도 하에서 증조모와 함께 사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핵가족화로 인해 증조모와 함께 사는 경우가 줄어들었다.
같이 보기
- 증조부
- 조부
- 조모
- 고조모
- 고조부
- 항렬
- 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