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불전
주불전(主佛殿)은 불교 사찰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건물로, 주존불을 모시는 전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대웅전, 극락전, 미륵전, 대적광전 등이 주불전의 역할을 수행한다.
주불전은 사찰의 규모와 종파,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명칭을 갖는다.
- 대웅전(大雄殿): 석가모니불을 주존으로 모시는 전각이다. 석가모니불 외에 좌우에 협시보살인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함께 봉안하는 경우가 많다.
- 극락전(極樂殿):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모시는 전각이다. 서방정토 극락세계를 주관하는 아미타불을 모셔, 사후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신앙의 중심이 된다.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협시보살로 봉안하는 경우가 많다.
- 미륵전(彌勒殿): 미래불인 미륵보살을 주존으로 모시는 전각이다. 미륵보살은 석가모니불 이후 미래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할 부처로 여겨진다.
- 대적광전(大寂光殿): 비로자나불을 주존으로 모시는 전각이다. 비로자나불은 법신불로서, 우주 전체를 상징하는 부처이다. 화엄종 사찰에서 주로 볼 수 있다.
주불전은 단순히 불상을 모시는 공간을 넘어, 불교 의례와 수행, 신앙 활동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찰 건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사찰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