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9,652건

조정 평균자책점

조정 평균자책점 (Adjusted ERA, ERA+)은 야구 통계 지표 중 하나로, 투수의 평균자책점을 구장 효과와 리그 수준을 고려하여 조정한 값이다. 단순히 평균자책점만으로는 투수의 진정한 실력을 평가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개념

평균자책점은 투수가 9이닝 동안 내준 자책점을 평균낸 값으로, 투수의 기본적인 실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러나 특정 구장은 타자에게 유리하거나 투수에게 유리할 수 있으며, 리그마다 타격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평균자책점만으로는 투수의 실력을 정확하게 비교하기 어렵다. 조정 평균자책점은 이러한 구장 효과와 리그 수준을 보정하여 투수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계산 방법

조정 평균자책점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계산된다.

  1. 리그 평균자책점 계산: 해당 리그의 모든 투수의 평균자책점을 계산한다.
  2. 구장 조정 계수 계산: 특정 구장에서의 득점 변화를 반영하는 계수를 계산한다. 이는 해당 구장에서의 득점과 리그 평균 득점을 비교하여 산출된다.
  3. 조정 평균자책점 계산: 투수의 평균자책점, 리그 평균자책점, 구장 조정 계수를 이용하여 조정 평균자책점을 계산한다. 구체적인 계산식은 통계 기관이나 연구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해석

조정 평균자책점은 100을 기준으로 한다. 100보다 높으면 해당 투수는 리그 평균보다 못한 투수이며, 100보다 낮으면 리그 평균보다 뛰어난 투수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정 평균자책점이 80인 투수는 리그 평균보다 20% 더 뛰어난 투수라고 해석할 수 있다.

활용

조정 평균자책점은 투수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비교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특히, 다른 리그나 다른 구장에서 뛴 투수의 실력을 비교할 때 유용하며, 팀은 투수 영입이나 트레이드 시 의사 결정에 참고할 수 있다. 또한, 팬들은 조정 평균자책점을 통해 투수의 활약상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