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미끄러짐
정의: 정상 미끄러짐(Normal Slip)은 지질학 및 지구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단층면을 따라 발생하는 움직임의 한 유형을 나타낸다. 단층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과 단층의 이동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단층면에 수직인 압축력이나 장력이 작용하면서 동시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단층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면서 동시에 수평 방향의 미끄러짐도 일어나는 복합적인 운동이다. 단순한 수평 이동(스트라이크-슬립 단층)이나 수직 이동(정단층, 역단층)과는 구분된다.
특징:
- 복합적인 운동: 수직 방향의 움직임(정단층이나 역단층 성분)과 수평 방향의 움직임(스트라이크-슬립 단층 성분)이 동시에 발생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운동은 단층면의 기울기, 작용하는 응력의 방향과 크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 단층면의 기울기: 정상 미끄러짐은 다양한 기울기를 가진 단층면에서 발생할 수 있다.
- 응력장의 영향: 지각 내부의 응력장의 변화에 따라 정상 미끄러짐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
- 지진 발생과의 연관성: 정상 미끄러짐은 지진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단층면을 따라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미끄러짐이 지진파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정상 미끄러짐을 동반하는 지진은 단순한 수평 또는 수직 이동 지진보다 복잡한 지진파 패턴을 보일 수 있다.
관련 용어:
- 단층(Fault): 지각 내부의 암석이 파쇄되어 어긋나 있는 면.
- 정단층(Normal Fault): 장력에 의해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이동하는 단층.
- 역단층(Reverse Fault): 압축력에 의해 상반이 하반에 대해 위로 이동하는 단층.
- 스트라이크-슬립 단층(Strike-Slip Fault): 단층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층.
참고: 정상 미끄러짐은 지질 구조 해석 및 지진 예측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단층의 운동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지각 변동 과정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