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35건

절하

절하 (切下)는 일반적으로 통화의 가치를 의도적으로 낮추는 경제 정책을 의미한다. 이는 자국 통화의 대외 구매력, 즉 외국 통화 대비 자국 통화의 환율을 낮추는 것을 말한다. 절하는 정부 또는 중앙은행의 정책 결정에 따라 이루어지며,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목표로 한다.

절하의 목적

절하는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행된다.

  • 수출 증진: 자국 통화 가치가 하락하면 자국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이 증가할 수 있다. 외국에서 보기에는 자국 상품이 더 저렴해지기 때문이다.
  • 수입 억제: 자국 통화 가치가 하락하면 수입품의 가격이 상승하여 수입이 감소할 수 있다. 자국 내에서 수입품을 구매하는 비용이 더 비싸지기 때문이다.
  • 경상수지 개선: 수출 증가와 수입 억제를 통해 경상수지, 특히 무역수지를 개선할 수 있다.
  • 외국인 투자 유치: 자국 통화 가치가 하락하면 자국 자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져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 국내 산업 보호: 수입품 가격 상승은 국내 산업이 외국 경쟁으로부터 보호받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절하의 방법

절하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 직접적인 통화 가치 하락: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자국 통화를 매도하고 외국 통화를 매수함으로써 자국 통화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하락시킨다.
  • 금리 인하: 금리 인하는 자국 통화의 매력을 떨어뜨려 통화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다. 금리가 낮아지면 해당 통화로 투자하는 매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 미래 정책에 대한 신호: 정부나 중앙은행이 미래에 통화 가치 하락을 용인할 것이라는 신호를 시장에 보내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를 변화시켜 통화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다.

절하의 영향

절하는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모두 가져올 수 있다.

긍정적 영향:

  • 수출 증진, 수입 억제, 경상수지 개선 등

부정적 영향:

  • 수입 물가 상승: 수입품 가격 상승은 국내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가격 상승은 경제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 외채 부담 증가: 외화로 표시된 부채의 원화 환산액이 증가하여 외채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 자본 유출 우려: 통화 가치 하락에 대한 기대는 자본 유출을 촉발할 수 있다.

절하의 예

과거 여러 국가에서 경제 위기 극복이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절하 정책을 시행한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아시아 금융 위기 당시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통화 가치를 절하시켜 수출 경쟁력을 회복하려 했다.

관련 용어

  • 평가절하 (Devaluation): 고정환율제도 하에서 정부가 공식적으로 통화 가치를 낮추는 것
  • 평가절상 (Revaluation): 고정환율제도 하에서 정부가 공식적으로 통화 가치를 높이는 것
  • 변동환율제도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이 자유롭게 변동하는 제도
  • 고정환율제도 (Fixed Exchange Rate System): 정부가 특정 통화에 대해 자국 통화의 가치를 고정시키는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