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243건

절지동물

절지동물 (節肢動物, Arthropoda)은 동물계에서 가장 큰 문(門)으로, 전 세계적으로 100만 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전체 동물 종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곤충, 거미, 갑각류, 다지류 등 다양한 생물군을 포함한다. 절지동물의 가장 큰 특징은 키틴질 외골격과 마디로 이루어진 부속지(다리, 더듬이 등)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징

  • 외골격: 절지동물의 몸은 단단한 키틴질 외골격으로 덮여 있어 몸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골격은 성장함에 따라 탈피를 통해 주기적으로 교체된다.
  • 마디 부속지: 몸과 부속지(다리, 더듬이 등)가 여러 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어 운동 능력이 뛰어나다. 부속지는 걷기, 헤엄치기, 먹이 잡기, 감각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몸의 구분: 몸은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나뉘거나, 머리와 가슴이 합쳐진 머리가슴과 배로 나뉜다.
  • 복안과 홑눈: 시각 기관으로는 여러 개의 홑눈이 모여 이루어진 복안과 단일 렌즈로 구성된 홑눈이 있다. 복안은 넓은 시야를 제공하며, 홑눈은 명암을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 개방 혈관계: 혈액이 혈관을 통해 흐르지 않고 몸 안의 공간을 채우는 개방 혈관계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 다양한 호흡 기관: 아가미, 기관, 책폐 등 서식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호흡 기관을 가진다.
  • 다양한 생활 방식: 육상, 해양, 담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자유 생활을 하는 종도 있고 기생 생활을 하는 종도 있다.

분류

절지동물문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삼엽충아문 (Trilobitomorpha): 고생대에 번성했던 절지동물로, 현재는 멸종되었다.
  • 협각아문 (Chelicerata): 거미, 전갈, 투구게 등이 속한다.
  • 다지아문 (Myriapoda): 지네, 노래기 등이 속한다.
  • 갑각아문 (Crustacea): 게, 새우, 갯가재 등이 속한다.
  • 육각아문 (Hexapoda): 곤충이 속한다.

생태적 중요성

절지동물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곤충은 식물의 수분을 돕고, 다른 동물들의 먹이가 되며, 토양의 비옥도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갑각류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먹이 사슬의 구성원이며, 다른 절지동물들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일부 절지동물은 농작물에 해를 끼치거나 질병을 전파하기도 한다.

인간과의 관계

절지동물은 인간 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곤충은 식량 자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양봉을 통해 꿀을 얻기도 한다. 갑각류는 식용으로 널리 소비되며, 의약품 개발에도 활용된다. 하지만 일부 절지동물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거나 전염병을 옮겨 인간에게 해를 끼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