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폐색
장폐색 (腸閉塞, Intestinal obstruction)은 소장이나 대장 등 장의 내용물이 정상적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막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장폐색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폐쇄와 기능적인 폐쇄로 크게 나뉜다.
원인
- 기계적 폐쇄: 장의 물리적인 막힘으로 인해 발생한다.
- 유착: 수술 후 복강 내 장기들이 서로 들러붙어 장을 좁히거나 막는 경우
- 탈장: 장의 일부가 복벽의 약한 부분을 통해 튀어나와 꼬이거나 눌리는 경우
- 장염전: 장이 꼬여 혈액 공급을 차단하고 폐쇄를 유발하는 경우
- 종양: 장 내부 또는 외부에서 장을 압박하여 폐쇄를 일으키는 경우
- 이물질: 음식물 덩어리, 담석, 기생충, 삼킨 물건 등이 장을 막는 경우
- 장중첩증: 장의 한 부분이 다른 부분 안으로 말려 들어가는 경우 (주로 소아에게 발생)
- 기능적 폐쇄 (마비성 장폐색): 장의 연동 운동이 마비되어 내용물이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 수술 후 마비: 복부 수술 후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 복막염: 복막의 염증으로 인해 장 운동이 저하되는 경우
- 약물: 특정 약물 (마약성 진통제 등) 복용 후 장 운동이 억제되는 경우
- 전해질 불균형: 혈중 칼륨, 칼슘 등의 불균형으로 장 운동이 저하되는 경우
증상
장폐색의 증상은 폐쇄 부위와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복통: 간헐적이거나 지속적인 복통
- 구토: 폐쇄 부위보다 상부에 위치한 장 내용물이 역류하여 발생
- 복부 팽만: 가스와 액체가 축적되어 복부가 부풀어 오르는 증상
- 변비 또는 배변 중단: 장폐색으로 인해 대변 배출이 어려워지거나 완전히 멈추는 경우
- 탈수: 구토와 장내 수분 흡수 장애로 인해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
장폐색은 환자의 증상과 신체 검진을 통해 의심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 복부 X선 촬영: 장내 가스 및 액체 축적을 확인하고 폐쇄 부위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 CT 촬영: 장폐색의 원인과 폐쇄 부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 혈액 검사: 전해질 불균형 및 탈수 정도를 평가한다.
치료
장폐색의 치료는 원인과 심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 비수술적 치료:
- 금식: 입을 통한 음식물 섭취를 중단하고, 정맥을 통해 수액과 전해질을 공급한다.
- 비위관 삽입: 코를 통해 위나 장까지 튜브를 삽입하여 가스와 액체를 제거하여 장 내부 압력을 감소시킨다.
- 수술적 치료:
- 기계적 폐쇄의 경우, 유착 박리, 탈장 교정, 장 절제술 등 원인에 따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 장염전이나 장 괴사가 발생한 경우에는 응급 수술이 필요하다.
합병증
장폐색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다음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장 괴사: 장으로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장 조직이 죽는 경우
- 패혈증: 장 내 세균이 혈액으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심각한 감염
- 복막염: 장 천공으로 인해 장 내용물이 복강 내로 유출되어 발생하는 복막의 염증
- 사망: 심각한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장폐색은 심각한 질환이므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