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480건

장수풍뎅이

장수풍뎅이 (학명: Allomyrina dichotoma)는 딱정벌레목 장수풍뎅이과 장수풍뎅이아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크고 위협적인 수컷의 뿔 모양 때문에 '장수(將帥)'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로 동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며, 한국, 일본 등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애완용 곤충으로 인기가 많아 상업적으로 사육되기도 한다.

분류

  • 계: 동물계 (Animalia)
  • 문: 절지동물문 (Arthropoda)
  • 강: 곤충강 (Insecta)
  • 목: 딱정벌레목 (Coleoptera)
  • 과: 장수풍뎅이과 (Scarabaeidae)
  • 아과: 장수풍뎅이아과 (Dynastinae)
  • 속: 장수풍뎅이속 (Allomyrina)
  • 종: 장수풍뎅이 (A. dichotoma)

형태

성충의 몸길이는 수컷이 5~8 cm 정도이며, 뿔 길이를 포함하면 10 cm가 넘기도 한다. 암컷은 4~6 cm 정도이다. 몸 색깔은 적갈색에서 흑갈색까지 다양하다. 수컷은 머리에 작은 뿔이 있고, 가슴에는 크고 두 갈래로 갈라진 뿔이 있다. 이 뿔은 주로 다른 수컷과 싸우거나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암컷은 뿔이 거의 퇴화되어 작고 둥근 돌기 형태로만 남아 있다. 몸 전체는 단단한 키틴질의 외골격으로 덮여 있다.

생태

유충(애벌레)은 부엽토나 썩은 나무, 퇴비 등 유기물이 풍부한 곳에서 서식하며, 이를 섭식하며 성장한다. 유충 기간은 보통 1~2년 정도이다. 성장한 유충은 땅속이나 썩은 나무 속에 번데기방을 만들고 번데기가 된다. 성충은 주로 여름철인 6월에서 8월 사이에 우화하여 활동한다.

성충은 참나무, 상수리나무 등 활엽수의 수액을 주식으로 한다. 과일이나 곤충 젤리 등 단 것도 잘 먹는다.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곤충이다. 수컷은 먹이 터나 암컷을 두고 다른 수컷과 힘겨루기를 하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성충의 수명은 우화 후 보통 수개월 정도이다.

서식지 및 분포

장수풍뎅이는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베트남 등 동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숲이나 산기슭 등 나무가 많은 곳에서 발견되며, 특히 참나무나 상수리나무 숲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애완용으로 사육되면서 인위적으로 서식지가 확장되기도 한다.

인간과의 관계

장수풍뎅이는 뿔이 발달한 독특한 외형과 비교적 온순한 성격 때문에 애완용 곤충으로 인기가 매우 높다. 특히 어린이들이 기르기 쉬워 곤충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상업적인 목적으로 대량 사육되기도 한다. 드물게 성충이 과수 등의 과일에 피해를 주기도 하나, 심각한 해충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