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5,419건

일절

일절은 한국어 단어로, 부사 또는 명사로 사용되며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닌다.

1. 부사로서의 일절 (一切) '일절'은 부사로 사용될 때 '전혀', '조금도'의 의미를 가지며, 주로 뒤따르는 내용을 강하게 부정할 때 쓰인다. 어원은 한자 一切(일체)에서 온 것으로, '모든 것을 끊는다'는 뜻에서 부정적인 의미와 함께 사용될 때가 많다. 비슷한 단어로는 '전혀', '결코' 등이 있으나, '일절'은 금지나 부정을 더욱 강조하는 뉘앙스가 있다.

  • 의미: 전혀, 추호도.
  • 용법: 주로 '~지 않다', '~없다', '~금하다' 등 부정적인 서술어와 함께 쓰인다.
  • 예시:
    • 잡담은 일절 금지한다. (잡담은 전혀 허용되지 않는다.)
    • 그는 이 사건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이 사건에 대해 전혀 말하지 않았다.)
    • 나는 어제 저녁부터 아무것도 일절 먹지 않았다. (나는 어제 저녁부터 아무것도 전혀 먹지 않았다.)

2. 명사로서의 일절 (一節) '일절'은 명사로 사용될 때 시가(詩歌)나 노래 등의 한 도막, 한 연(聯)이나 한 절(節)을 의미한다. 이때의 어원은 한자 一節(일절)로, '한 마디' 또는 '한 단락'을 뜻한다. 이 용법은 부사로서의 용법보다 일상생활에서 덜 사용되는 편이다.

  • 의미: 시가나 노래 등의 한 도막, 한 절.
  • 용법: 시조 한 일절, 노래 한 일절 등과 같이 사용된다.
  • 예시:
    • 친구가 즉석에서 시조 한 일절을 읊었다. (친구가 즉석에서 시조 한 연을 읊었다.)
    • 오래된 노래의 한 일절이 문득 떠올랐다. (오래된 노래의 한 구절이 문득 떠올랐다.)

이처럼 '일절'은 같은 발음이지만 사용되는 한자와 문맥에 따라 부사와 명사로 나뉘며,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진다. 두 가지 용법 모두 표준어 규정에 맞는 사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