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통신망
인체 통신망 (Human Body Communication, HBC)은 인체를 전송 매체로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의 일종으로, 인체 표면 또는 내부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기기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개요
인체 통신망은 기존 무선 통신 기술 (Wi-Fi, Bluetooth 등)의 대안으로 제시되며, 특히 웨어러블 기기, 헬스케어 기기, 보안 시스템 등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전자기파 방출량이 적고, 보안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작동 원리
인체 통신망은 일반적으로 용량성 결합 (Capacitive Coupling) 또는 갈바닉 결합 (Galvanic Coupling) 방식을 사용한다.
- 용량성 결합: 인체와 송수신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 용량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한다. 인체는 전송 매체 역할을 하며, 전극을 통해 약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 갈바닉 결합: 송수신 장치가 인체에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이 방식은 용량성 결합보다 전송 효율이 높지만, 인체 안전에 대한 고려가 더 필요하다.
응용 분야
-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워치, 스마트 글래스 등 웨어러블 기기 간 데이터 통신
- 헬스케어: 생체 신호 모니터링, 의료 기기 제어
- 보안: 출입 통제 시스템, 개인 인증
- 결제: 비접촉 결제 시스템
- 스마트 홈: 가전제품 제어
장점
- 낮은 전력 소비
- 높은 보안성 (근거리 통신)
- 전자기파 방출량 감소
- 소형화 가능
단점
- 전송 속도 제한
- 인체 환경에 따른 성능 변화 (습도, 접촉 상태 등)
- 안전성 문제 (특히 갈바닉 결합)
관련 기술 및 표준
- IEEE 802.15.6 (Wireless Body Area Network)
- Near-field Communication (NFC)
- Bluetooth Low Energy (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