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당불내증
유당불내증(乳糖不耐症, Lactose intolerance)은 소장에서 유당(락토스)을 분해하는 효소인 락타아제의 결핍으로 인해 유당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는 증상이다. 유당은 우유 및 유제품에 함유된 탄수화물이며, 락타아제가 부족하면 유당이 소화되지 않고 대장으로 이동하여 장내 세균에 의해 발효된다. 이 과정에서 가스,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원인
유당불내증의 주요 원인은 락타아제 생산량 감소이다. 락타아제 생산량은 유아기에 가장 높으며, 성장하면서 점차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락타아제 생산량 감소는 유전적 요인, 인종, 연령, 질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유전적 요인: 락타아제 지속성 유전자의 변이는 성인기에 락타아제 생산량을 유지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유전적으로 락타아제 지속성이 낮은 경우 유당불내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인종: 유당불내증 유병률은 인종에 따라 다르다.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인구에서 유병률이 높은 반면, 북유럽 인구에서는 유병률이 낮은 편이다.
- 연령: 락타아제 생산량은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노년층에서 유당불내증 발생률이 증가한다.
- 질병: 소장 질환(예: 크론병, 셀리악병), 감염, 수술 등으로 인해 소장 점막이 손상되면 락타아제 생산량이 감소하여 유당불내증이 발생할 수 있다.
증상
유당불내증의 증상은 유당 섭취 후 30분에서 2시간 이내에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의 정도는 유당 섭취량, 락타아제 결핍 정도, 개인의 장내 세균 구성 등에 따라 달라진다.
- 주요 증상: 복통, 복부 팽만감, 설사, 가스, 구역질
- 기타 증상: 구토, 변비 (드물게)
진단
유당불내증은 환자의 증상, 식이 기록, 유당 부하 검사, 수소 호흡 검사, 장 생검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 유당 부하 검사: 유당을 섭취한 후 혈액 내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여 유당 소화 능력을 평가한다.
- 수소 호흡 검사: 유당을 섭취한 후 호흡 내 수소 농도를 측정하여 유당 발효 정도를 평가한다.
- 장 생검: 소장 점막 조직을 채취하여 락타아제 활성도를 측정한다.
치료 및 관리
유당불내증의 치료는 유당 섭취를 제한하거나, 락타아제 보충제를 복용하는 방법이 있다.
- 식이 조절: 유제품 섭취량을 줄이거나, 유당이 제거된 유제품을 섭취한다.
- 락타아제 보충제: 유제품 섭취 시 락타아제 효소를 복용하여 유당 소화를 돕는다.
- 칼슘 및 비타민 D 보충: 유제품 섭취 제한으로 인해 칼슘 및 비타민 D 결핍이 우려될 경우 보충제를 섭취한다.
- 프로바이오틱스: 특정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유익균을 증가시켜 유당불내증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유당불내증은 심각한 질병은 아니지만,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적절한 식이 조절 및 락타아제 보충제 복용을 통해 증상을 관리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문의와 상담하여 개인에게 맞는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