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선
위선 (僞善, hypocrisy)은 겉으로는 도덕적인 척, 선한 척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태도나 행위를 의미한다. 즉, 자신이 지키지 못하는 도덕적 기준을 다른 사람에게는 요구하거나, 속으로는 다른 생각을 하면서 겉으로는 착한 모습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위선은 개인의 인격적인 결함으로 여겨질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불신을 조장하고 공동체의 유대를 약화시키는 행위로 간주된다.
어원 및 유래
위선(僞善)은 '거짓 위(僞)'와 '착할 선(善)'으로 이루어진 한자어이다. 영어로는 hypocrisy라고 하며, 이는 그리스어 'hypokrisis (ὑπόκρισις)'에서 유래되었다. 'Hypokrisis'는 연극 배우가 가면을 쓰고 연기하는 것을 의미했는데, 여기서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과 실제 내면의 모습이 다르다'는 의미가 파생되어 위선을 뜻하게 되었다.
특징
위선적인 행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보호를 주장하면서도 실제로는 일회용품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행위, 평등을 외치면서도 특정 집단을 차별하는 행위, 검소함을 강조하면서도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는 행위 등이 위선에 해당될 수 있다. 위선은 종종 자기기만과 결합되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자신이 위선적인 행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거나, 합리화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위선의 원인
위선의 원인은 다양하게 분석될 수 있다. 사회적 압력, 자기 이익 추구, 불안감, 낮은 자존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위선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사회적 압력은 타인에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혹은 비난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진정한 생각이나 감정을 숨기고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행동을 하도록 강요한다. 자기 이익 추구는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겉으로는 도덕적인 척하면서 실제로는 부정한 행위를 하는 경우를 말한다. 불안감이나 낮은 자존감은 타인에게 인정받고 사랑받기 위해 자신의 실제 모습과는 다른 이상적인 모습을 연출하게 만든다.
비판
위선은 윤리적으로 비난받아 마땅한 행위로 여겨진다. 위선은 진실성을 훼손하고 타인을 기만하며, 사회적 신뢰를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또한, 위선은 개인의 내면적 갈등을 심화시키고, 정직하고 진솔한 관계를 맺는 것을 방해한다.
관련 개념
- 기만 (Deception): 타인을 속이거나 오해하게 만드는 행위.
- 가식 (Affectation): 꾸며서 드러내는 태도나 행동.
- 도덕적 상대주의 (Moral Relativism): 도덕적 가치 판단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사회나 문화에 따라 달라진다는 관점. 위선과 관련된 논의에서 도덕적 상대주의는 때때로 위선적인 행동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같이 보기
- 인지부조화
- 자기기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