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8,098건

외제니 그랑데

외제니 그랑데 (Eugénie Grandet)는 프랑스의 소설가 오노레 드 발자크(Honoré de Balzac)가 1833년에 발표한 장편 소설이다. 그의 방대한 작품집 《인간 희극》(La Comédie humaine)의 일부를 이루는 작품 중 하나로, 발자크의 대표작이자 사실주의 문학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프랑스 루아르 계곡의 도시 솜뮈르(Saumur)를 배경으로, 극심한 구두쇠인 아버지 펠릭스 그랑데와 그의 순수하고 희생적인 딸 외제니, 그리고 외제니가 사랑하는 사촌 샤를의 이야기를 통해 돈과 인간의 욕망, 사랑, 사회의 부패상을 그린다.

줄거리

솜뮈르의 갑부이자 지독한 구두쇠인 펠릭스 그랑데 씨에게는 외동딸 외제니가 있다. 외제니는 아버지의 감시와 구두쇠 기질 아래 순박하게 자라지만, 파리에서 온 세련된 사촌 샤를에게 연정을 품게 된다. 샤를은 파리에서 아버지의 사업 실패와 자살로 하루아침에 몰락하고, 아버지가 남긴 막대한 빚과 함께 인도로 떠나게 된다. 외제니는 자신의 전 재산인 금화를 샤를에게 주며 사랑을 맹세한다.

샤를은 인도로 떠나 사업에 성공하며 부자가 되지만, 외제니와의 약속을 잊고 유럽으로 돌아와 돈과 지위를 위해 다른 여자와 결혼한다. 외제니는 아버지의 사망 후 막대한 재산을 상속받아 부자가 되지만, 샤를에게 배신당하고 사랑에 대한 환상이 깨진 채 순수함을 잃고 외롭게 살아간다. 그녀는 결국 형식적인 결혼을 하지만 진정한 행복을 찾지 못하고, 상속받은 재산을 선행에 쓰며 생을 마감한다.

등장인물

  • 외제니 그랑데 (Eugénie Grandet): 소설의 주인공. 순수하고 착하지만 세상 물정에 어두운 인물이다. 사촌 샤를을 향한 헌신적인 사랑으로 인해 비극적인 삶을 살게 된다.
  • 펠릭스 그랑데 (Félix Grandet): 솜뮈르의 대표적인 부자로, 극심한 구두쇠이다. 오직 돈을 모으고 지키는 데에만 집착하며 가족들에게조차 인색하다. 돈에 대한 그의 병적인 집착은 소설의 주요 갈등 요소이다.
  • 샤를 그랑데 (Charles Grandet): 파리에서 온 외제니의 사촌. 처음에는 매력적이고 세련된 신사였으나, 인도로 건너가 사업에 성공한 후 속물적이고 냉혹한 인물로 변모한다. 외제니의 순수한 사랑을 배신한다.
  • 크뤼쇼 가문과 데 그라생 가문: 솜뮈르의 유지들로, 외제니의 막대한 재산을 노리고 그녀와 결혼시키려 서로 경쟁하는 모습을 보인다.

주요 테마

  • 구두쇠와 돈의 영향: 펠릭스 그랑데를 중심으로 돈에 대한 병적인 집착이 인간성을 어떻게 파괴하고 관계를 왜곡하는지를 생생하게 묘사한다.
  • 순수한 사랑과 속물주의: 외제니의 헌신적이고 이타적인 사랑과 샤를의 계산적이고 이기적인 태도를 극명하게 대비시키며 진정한 가치에 대해 묻는다.
  • 지방과 파리의 대조: 순박하고 보수적인 지방 도시 솜뮈르와 화려하지만 부패한 대도시 파리의 모습을 통해 당대 프랑스 사회의 단면과 가치관의 충돌을 보여준다.
  • 여성의 삶과 비극: 19세기 프랑스 사회에서 재산과 결혼이라는 제도 아래 여성이 겪는 한계와 순수한 영혼이 세상의 속물성에 의해 상처받는 비극을 그린다.

평가 및 영향

《외제니 그랑데》는 발자크의 소설 중에서도 가장 구조가 짜임새 있고 문체가 간결하며 인물 묘사가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펠릭스 그랑데라는 인물은 문학사에서 가장 인상 깊은 구두쇠 캐릭터 중 하나로 꼽힌다. 인간의 탐욕과 돈의 힘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 생생한 인물 묘사, 사실적인 시대 배경 묘사를 통해 19세기 프랑스 리얼리즘 문학의 정수로 여겨지며, 오늘날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여러 차례 영화, 연극 등으로 각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