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5,278건

옻나무과

옻나무과는 무환자나무목에 속하는 식물 과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70~80속에 걸쳐 600~700여 종이 포함된다.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지만, 온대 지역에서도 일부 종이 발견된다.

특징 옻나무과는 교목(나무) 또는 관목(떨기나무)의 형태를 가지며, 드물게 덩굴식물인 경우도 있다. 많은 종에서 유액(수지)이 나오는데, 이 유액은 공기에 노출되면 검게 변하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우루시올(urushiol) 성분을 포함하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며, 대부분 복엽(여러 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잎) 형태이지만, 일부는 단엽(하나의 잎)인 경우도 있다. 턱잎은 보통 없다. 꽃은 작고 눈에 잘 띄지 않으며, 양성화 또는 단성화이다. 단성화일 경우 암꽃과 수꽃이 한 그루에 같이 피거나(자웅동주), 각각 다른 그루에 피기도 한다(자웅이주). 꽃차례는 보통 원추꽃차례이다.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3~5개이며, 수술은 5개 또는 그 이상이다. 씨방은 보통 3개의 심피로 이루어지지만 1개만 발달하는 경우가 많다. 열매는 핵과(씨를 둘러싼 단단한 껍질이 있는 열매, 예: 복숭아) 또는 시과(날개 달린 열매, 예: 단풍나무) 형태이다.

분포 옻나무과는 전 세계의 다양한 기후대, 특히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흔하게 자란다. 북미,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등 대륙 전반에 걸쳐 분포한다. 한국에는 옻나무(Rhus verniciflua), 붉나무(Rhus javanica),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등의 종이 자생한다.

주요 속 및 활용 옻나무과에는 망고(Mangifera), 캐슈넛(Anacardium), 피스타치오(Pistacia), 옻나무(Rhus), 붉나무(Rhus), 독성 식물(Toxicodendron, 예: 덩굴옻나무, 독참나무) 등 경제적으로 중요하거나 생태적으로 특징적인 많은 속이 포함된다.

  • 망고속(Mangifera): 망고 열매 생산
  • 캐슈넛속(Anacardium): 캐슈넛 열매 및 캐슈 사과 생산
  • 피스타치오속(Pistacia): 피스타치오 열매 생산
  • 옻나무속(Rhus): 일부 종은 열매(오미자 대용), 수지(옻칠), 염료, 약용 등으로 이용됨. 한국의 옻나무는 옻칠 재료로 유명하다.
  • 붉나무속(Rhus): 붉나무의 벌레혹(오배자)은 탄닌 성분이 풍부하여 염료, 약재 등으로 쓰인다.
  • 독성 식물 속(Toxicodendron): 북미의 독아이비(poison ivy), 독참나무(poison oak), 독옻나무(poison sumac) 등이 속하며, 강한 알레르기성 물질인 우루시올을 함유한다. 한국의 옻나무, 개옻나무 등도 이 속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독성 옻나무과 식물의 특징 중 하나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우루시올을 함유하는 종이 많다는 것이다. 특히 옻나무, 개옻나무, 그리고 북미의 Poison Ivy, Poison Oak, Poison Sumac 등이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식물이다. 우루시올은 식물의 수액에 포함되어 있으며, 식물체에 상처가 나거나 접촉했을 때 사람의 피부에 닿으면 심한 가려움증, 발진, 물집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경제적 중요성 옻나무과는 식용 가능한 과일(망고, 캐슈 사과), 견과류(캐슈넛, 피스타치오), 수지(옻칠), 염료, 약용 식물, 목재 등 다양한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는 식물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동시에 강한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포함하는 종들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