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여말선초

여말선초는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에 이르는 역사적 전환기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시기는 고려 왕조의 쇠퇴와 멸망, 그리고 새로운 왕조인 조선의 건국과 안정이라는 격변의 시기였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

개요

여말선초는 일반적으로 14세기 후반부터 15세기 초반에 해당하는 시기로, 구체적으로는 공민왕의 개혁 정치 이후부터 조선 태종 대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를 포괄한다. 이 시기에는 원나라의 쇠퇴와 명나라의 흥기로 인한 국제 질서의 변화, 고려 내부의 정치적 혼란, 왜구의 침략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회 전체가 불안정한 상태였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신흥 무인 세력이 등장하여 조선을 건국하게 된다.

주요 특징

  • 정치적 격변: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이라는 왕조 교체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훈구 세력과 사림 세력 간의 갈등이 시작되었으며, 왕권 강화와 신권 견제라는 과제가 대두되었다.
  • 경제적 혼란: 고려 말기의 토지 제도 문란과 관리들의 부정부패로 인해 농민들의 생활이 어려워졌으며, 왜구의 침략은 경제적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켰다. 조선 건국 이후에는 새로운 토지 제도인 과전법을 실시하여 경제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사회적 변화: 신분 질서가 동요하고 새로운 사회 세력이 등장하였다. 고려 말기의 권문세족이 몰락하고,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신흥 무인 세력과 신진 사대부가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 문화적 변화: 성리학이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자리 잡으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성리학적 가치관이 확산되었다. 또한, 훈민정음 창제를 통해 민족 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

주요 사건

  • 위화도 회군: 이성계가 요동 정벌을 위해 출병하였다가 군사를 돌려 정권을 장악한 사건이다.
  • 과전법 실시: 조선 건국 후 토지 제도를 개혁하여 백성들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국가 재정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훈민정음 창제: 세종대왕이 백성들이 쉽게 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한글을 창제하였다.
  • 왕자의 난: 조선 초기에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왕자들 간에 벌어진 정치적 갈등이다.

평가

여말선초는 한국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기이다. 이 시기의 변화는 이후 조선 왕조 500년의 역사를 규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 건국은 새로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민족 문화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지만, 동시에 훈구 세력과 사림 세력 간의 갈등, 왕권 강화와 신권 견제라는 과제를 남기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