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101건

양명학자

양명학자는 조선 후기에 성리학의 주류 흐름에서 벗어나 양명학(陽明學)을 신봉하고 연구한 학자를 지칭한다.

개요

양명학은 명나라의 왕수인(王守仁, 호는 양명)이 주창한 학문으로, 심즉리(心卽理, 마음이 곧 이치), 지행합일(知行合一, 앎과 행함은 하나), 치양지(致良知, 양지를 실현함) 등을 핵심 사상으로 한다. 조선에서는 16세기부터 소수의 학자들에 의해 수용되기 시작했으나, 성리학적 질서가 확고했던 사회 분위기 속에서 주류 학문으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특징

양명학자들은 성리학의 관념적이고 형식적인 학문 태도를 비판하며, 인간의 본성인 양지를 회복하고 실천적인 삶을 강조했다. 이들은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또한, 양명학은 신분 질서에 얽매이지 않고 인간의 자유로운 사고와 행동을 옹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표적인 양명학자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양명학자로는 정제두(鄭齊斗), 이건창(李建昌), 강화학파 등이 있다. 정제두는 양명학을 집대성하고 강화학파를 형성하여 양명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건창은 문장가로서 양명학적 사상을 담은 글을 많이 남겼다.

영향 및 의의

양명학은 조선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성리학 일변도의 학문적 경향에 변화를 주고, 실학 사상 발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또한, 인간의 주체성을 강조하고 실천적인 삶을 중시하는 양명학의 가치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