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자식
액자식 구성은 문학,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되는 이야기 구성 방식 중 하나이다. 액자식 구성은 이야기 속에 또 다른 이야기가 삽입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바깥 이야기, 즉 액자에 해당하는 이야기가 안쪽 이야기, 즉 그림에 해당하는 이야기를 감싸는 구조를 가진다.
특징
-
이야기 속의 이야기: 액자식 구성의 가장 큰 특징은 주된 이야기(액자 이야기) 속에 다른 이야기(내부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내부 이야기는 액자 이야기의 등장인물에 의해 전달되거나, 과거 회상, 꿈 등의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
다층적 의미: 액자식 구성은 이야기를 다층적으로 만들어 독자 또는 관객에게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제공한다. 내부 이야기는 액자 이야기의 주제를 강화하거나, 등장인물의 심리 변화를 설명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
시점의 변화: 액자식 구성은 시점의 변화를 통해 이야기를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액자 이야기의 시점과 내부 이야기의 시점이 다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일한 사건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
-
몰입도 증진 및 거리 두기: 액자식 구성은 내부 이야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전체적인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 액자 이야기를 통해 내부 이야기와의 거리를 두어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예시
- 문학: 현진건의 소설 《운수 좋은 날》은 액자식 구성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그'의 불행한 하루를 묘사하는 내부 이야기가, '그'의 죽음을 알리는 액자 이야기 속에 포함되어 있다.
- 영화: 영화 《타이타닉》은 노년의 로즈가 과거의 이야기를 회상하는 액자식 구성을 통해, 타이타닉호 침몰 사건과 로맨스를 동시에 보여준다.
- 드라마: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는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도민준의 삶을 액자식 구성으로 보여주며, 그의 불멸의 사랑을 강조한다.
관련 용어
- 액자 이야기: 전체 이야기의 틀을 이루는 바깥 이야기.
- 내부 이야기: 액자 이야기 속에 삽입된 이야기.
- 액자 소설: 액자식 구성을 사용한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