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로바이러스
개요
아스트로바이러스는 사람과 동물의 위장염(감염성 설사)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한 종류이다. 이름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바이러스 입자 표면에 별 모양의 구조가 보이는 데서 유래했다. 영유아, 노인, 면역 저하 환자에게서 주로 발견되며, 비교적 경미한 위장염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분류
아스트로바이러스는 아스트로바이러스과(Astroviridae)에 속하며, 양성 단일 가닥 RNA 게놈을 가지는 바이러스이다. 사람에게 감염되는 주요 아스트로바이러스는 [[Mamastrovirus]] 속의 Human astrovirus (HAstV) 1-8형 등이다.구조
아스트로바이러스 입자는 약 28-30 나노미터(nm) 크기의 구형이며, 외막이 없는(non-enveloped) 정20면체(icosahedral) 형태이다. 표면에 특징적인 별 모양의 구조가 관찰된다. 게놈은 약 6.8-7.9 킬로염기(kb) 길이의 양성 단일 가닥 RNA로 구성되어 있다.감염 및 증상
아스트로바이러스는 주로 감염된 사람의 분변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오염된 표면을 만진 후 입을 만지는 등 분변-경구 경로를 통해 전파된다. 잠복기는 보통 1~4일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설사, 구토, 발열, 복통 등이 있으며, 증상은 보통 며칠 내에 호전된다. 로타바이러스나 노로바이러스 감염에 비해 증상이 비교적 경미한 경향이 있다. 영유아 보육 시설이나 요양원 등 집단 시설에서 유행할 수 있다.진단 및 치료
아스트로바이러스 감염 진단은 환자의 분변 샘플에서 바이러스 유전자를 검출하는 RT-PCR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과거에는 전자현미경 관찰이나 ELISA 방법도 사용되었다.특별한 항바이러스 치료제는 없으며, 증상을 완화하는 대증 요법이 이루어진다. 설사 및 구토로 인한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