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6,442건

아리우스주의

아리우스주의는 4세기 초에 알렉산드리아의 사제였던 아리우스(Arius, 256년?~336년)가 주장한 기독교 신학 사상이다. 삼위일체론에 대한 이견으로, 성부(聖父)와 성자(聖子)의 관계에 있어서 성자는 성부에게서 창조된 존재이며, 따라서 영원불변한 성부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했다. 즉, 예수는 신적인 존재이기는 하지만, 완전한 신(하나님)은 아니라는 것이다.

아리우스주의는 급속히 확산되어 초기 기독교 세계에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아리우스주의는 이단으로 정죄되었고, 니케아 신경이 채택되어 성부와 성자의 동일 본질성(호모우시오스, homoousios)을 확립함으로써 정통 교리를 명확히 했다.

그러나 아리우스주의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후원 하에 일부 세력을 유지하며 정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특히 게르만 민족 선교에 영향을 미쳐, 서고트족, 반달족 등 일부 게르만족은 아리우스주의를 신봉하기도 했다.

이후 아리우스주의는 점차 쇠퇴하여 사라졌지만, 삼위일체론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기독교 교리 발달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