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9,526건

아고라주의

아고라주의 (agorism)는 자발적 교환을 통해 자유 시장을 구축하고 국가를 우회하거나 폐지하는 정치 철학이다. 이 용어는 1970년대 미국의 자유지상주의 이론가 새뮤얼 에드워드 컨킨 3세(Samuel Edward Konkin III)에 의해 만들어졌다. 아고라주의는 시장 아나키즘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으며, 특히 "카운터 경제"(counter-economics)를 통해 점진적인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전략을 강조한다.

아고라주의의 핵심 개념은 "아고라"(agora)인데, 이는 고대 그리스의 공공 광장이자 시장을 의미한다. 아고라주의자들은 국가의 통제를 받지 않는 자발적인 교환 네트워크, 즉 "카운터 경제"를 통해 자유로운 사회를 건설할 수 있다고 믿는다. 카운터 경제는 탈세, 암호화폐 사용, 정보 공유, 자가 생산 등 다양한 형태를 띨 수 있으며, 국가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개인의 자유를 확대하는 데 목적을 둔다.

아고라주의는 국가가 폭력적인 강제력을 행사하는 기관이며, 개인의 자유와 재산권을 침해한다고 본다. 따라서 아고라주의자들은 정치적 행동보다는 경제적 행동을 통해 국가를 우회하거나 무력화하는 전략을 선호한다. 그들은 합법적인 시장 활동과 불법적인 시장 활동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자발적인 교환은 정의롭다고 주장한다.

아고라주의는 작은 정부나 자유지상주의와는 구별된다. 작은 정부는 국가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 역할을 제한하는 반면, 아고라주의는 국가의 완전한 폐지를 목표로 한다. 자유지상주의는 정치적 활동을 통해 국가의 개입을 줄이는 것을 추구하는 반면, 아고라주의는 카운터 경제를 통해 국가를 우회하는 전략을 강조한다.

아고라주의는 자유지상주의 운동 내에서 논쟁적인 주제이다. 일부 자유지상주의자들은 아고라주의의 전략이 현실적이지 않거나 비윤리적이라고 비판하는 반면, 다른 자유지상주의자들은 아고라주의가 자유 사회를 건설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