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심장마비

심장마비는 심장 근육으로의 혈액 공급이 갑작스럽게 차단되어 발생하는 응급 상황입니다. 의학적으로는 급성 심근경색증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관상동맥이 혈전(피떡)에 의해 막히면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심장 근육은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고, 빠르게 손상되기 시작합니다.

원인

심장마비의 가장 흔한 원인은 관상동맥 질환입니다. 관상동맥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데,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흡연, 당뇨병 등의 위험 요인으로 인해 동맥벽에 지방이 축적되어 동맥경화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 동맥경화반이 파열되거나 손상되면 혈전이 형성되어 혈관을 막아 심장마비가 발생합니다. 그 외에도 드물게는 관상동맥의 경련, 심한 빈혈, 약물 남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심장마비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슴 통증: 쥐어짜는 듯하거나, 짓누르는 듯한 통증이 가슴 중앙이나 왼쪽에 나타납니다. 이 통증은 턱, 어깨, 팔로 퍼져나갈 수 있습니다.
  • 호흡 곤란: 숨쉬기가 어렵거나 숨이 가빠지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 식은 땀: 땀을 많이 흘리거나 피부가 차갑고 축축해질 수 있습니다.
  • 메스꺼움 및 구토: 속이 메스껍거나 구토를 할 수 있습니다.
  • 현기증 및 실신: 어지럽거나 정신을 잃을 수 있습니다.
  • 피로감: 갑작스럽게 극심한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증상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일부 환자는 증상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여성, 노인, 당뇨병 환자는 전형적인 가슴 통증 외에 다른 증상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진단

심장마비가 의심되는 경우, 병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립니다.

  • 심전도 (ECG):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여 심근 손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 혈액 검사: 심근 효소 (트로포닌 등) 수치를 측정하여 심장 근육의 손상 정도를 파악합니다.
  • 관상동맥 조영술: 카테터를 혈관에 삽입하여 관상동맥을 촬영하고, 혈관이 막힌 부위를 확인합니다.
  • 심장 초음파: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합니다.

치료

심장마비는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이므로, 즉시 병원으로 이송하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치료의 목표는 막힌 혈관을 가능한 한 빨리 재개통시켜 심장 근육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주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약물 치료: 혈전 용해제,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등을 사용하여 혈전 형성을 억제하고 혈관을 확장합니다.
  •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CI): 카테터를 사용하여 막힌 혈관을 넓히고 스텐트를 삽입하여 혈관이 다시 막히는 것을 방지합니다.
  • 관상동맥 우회술 (CABG): 다른 혈관을 이용하여 막힌 혈관을 우회하는 새로운 혈관을 만들어 혈액을 공급합니다.

예방

심장마비는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건강한 식단: 과일, 채소, 통곡물, 저지방 단백질 위주의 식단을 섭취하고, 포화 지방, 트랜스 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 섭취를 줄입니다.
  • 규칙적인 운동: 매일 30분 이상 적당한 강도의 유산소 운동을 합니다.
  • 금연: 담배는 혈관을 손상시키고 혈전 형성을 촉진하므로 금연합니다.
  • 체중 관리: 적정 체중을 유지합니다.
  • 혈압 및 콜레스테롤 관리: 고혈압 및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치료하고 관리합니다.
  • 당뇨병 관리: 당뇨병 환자는 혈당을 철저히 관리합니다.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합니다.
  • 정기적인 건강 검진: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심혈관 질환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