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시치미

시치미는 다음의 의미를 갖는다.

1. 시치미의 어원 및 사전적 의미

시치미는 본래 매사냥 도구의 하나로, 매의 꽁지 깃에 붙이는 꼬리표를 의미한다. 이 꼬리표에는 매의 주인을 알 수 있는 표식이 적혀 있어, 매를 잃어버렸을 때 주인을 찾아 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했다. 그런데 자신의 매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시치미를 떼고 잡아떼는 행위에서 유래하여, '자기가 하고도 안 한 척하거나 알고도 모르는 척하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알고도 모르는 척하거나 하고도 안 한 척하는 짓'으로 정의하고 있다.

2. 시치미의 유래와 역사

시치미의 유래는 매사냥이 성행했던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매는 귀족들의 중요한 사냥 도구이자 재산이었기 때문에, 매를 잃어버리는 것은 큰 손실이었다. 따라서 매의 주인을 알 수 있도록 시치미를 붙여 관리했던 것이다. 이러한 시치미의 본래 기능이 변질되어, 자신의 잘못을 숨기거나 책임을 회피하는 행위를 비판하는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 시대 이후로 추정된다.

3. 시치미의 활용

시치미는 주로 부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며, 비난이나 비판의 뉘앙스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그는 잘못을 저지르고도 시치미를 떼고 있다"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시치미는 속담이나 관용구에도 자주 등장한다. "시치미 떼다"는 대표적인 관용구로, 앞서 언급한 것처럼 자신의 잘못을 숨기거나 책임을 회피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4. 시치미와 관련된 표현

  • 시치미 떼다: 알고도 모르는 척하거나 하고도 안 한 척하다.
  • 시치미를 잡다: 일부러 딱 잡아떼며 책임을 회피하다.
  • 능글맞게 시치미 떼다: 뻔뻔스럽게 잡아떼며 책임을 회피하다.

5. 같이 보기

  • 은폐
  • 회피
  • 기만
  • 거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