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시조

시조(時調)는 한국의 3장 45자(또는 46자)의 운율을 가진 고유한 정형시다. 원래는 고려가요의 한 갈래였으나, 조선 시대에 이르러 독자적인 형식을 갖추고 크게 발전하였다. 주로 3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은 초장(첫째 장), 중장(둘째 장), 종장(셋째 장)으로 나뉜다. 음절 수는 초장 4음절, 중장 4음절 또는 5음절, 종장 4음절 또는 5음절 또는 6음절 등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초장은 5음절, 중장은 5음절, 종장은 7음절을 기본으로 한다.

시조의 형식적 특징으로는, 각 장의 음수 외에도 특정한 운율과 평택(平仄)의 규칙이 존재한다. 이러한 규칙성은 시조의 아름다움과 리듬감을 더하는 요소이다. 또한, 시조는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는데, 서정적이거나, 서사적이거나, 풍자적이거나, 교훈적인 것까지 그 범위가 넓다. 주요 특징으로는 3장의 구성, 45음절 또는 46음절의 음절 수, 평택의 규칙, 율격 등이 있다.

대표적인 시조 작가로는 정철, 김삿갓, 이옥 등이 있으며, 그들의 작품은 오늘날에도 널리 읽히고 연구되고 있다. 시조는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한국인의 정서와 미의식을 잘 드러내는 대표적인 문학 형식으로 평가받는다. 시조의 형식과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지만, 그 기본적인 구조와 정신은 오늘날까지 계승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