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시제품

시제품 (試製品, Prototype)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아이디어나 디자인의 실현 가능성, 기능, 성능 등을 검증하고 개선하기 위해 실제 제품과 유사하게 만들어보는 초기 모델을 의미한다. 프로토타입이라고도 불린다.

시제품은 최종 제품을 만들기 전에 다양한 실험과 평가를 거쳐 잠재적인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시제품의 목적

  • 개념 검증: 아이디어가 실제로 구현 가능한지, 사용자에게 유용한지 확인한다.
  • 디자인 평가: 외형, 사용성, 인터페이스 등을 평가하고 개선한다.
  • 기능 검증: 제품의 핵심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성능은 만족스러운지 확인한다.
  • 사용자 피드백: 사용자에게 시제품을 사용하게 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제품에 반영한다.
  • 위험 감소: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발견하고 해결하여 위험을 줄인다.

시제품의 종류

시제품은 제작 목적, 완성도, 기능 구현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 종이 프로토타입 (Paper Prototype): 종이, 카드, 그림 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UI/UX를 시뮬레이션하는 방법.
  • 로우-피델리티 프로토타입 (Low-fidelity Prototype): 간단한 재료를 사용하여 빠르게 만들 수 있는 시제품. 기능 구현보다는 전체적인 흐름이나 레이아웃을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둔다.
  • 하이-피델리티 프로토타입 (High-fidelity Prototype): 실제 제품과 거의 유사한 외형과 기능을 갖춘 시제품. 사용성 테스트, 기능 검증, 마케팅 자료 제작 등에 활용된다.
  • 기능 시제품 (Functional Prototype): 제품의 핵심 기능이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둔 시제품. 디자인이나 외형은 중요하지 않다.
  • 외형 시제품 (Visual Prototype): 제품의 외형을 보여주는 데 중점을 둔 시제품. 기능 구현은 최소화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시제품 제작 과정

시제품 제작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1. 목표 설정: 시제품을 통해 무엇을 검증하고 개선할 것인지 명확히 정의한다.
  2. 설계: 시제품의 기능, 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설계한다.
  3. 제작: 설계를 바탕으로 시제품을 제작한다.
  4. 평가: 시제품을 사용해보고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한다.
  5. 반복: 필요한 경우 설계를 수정하고 시제품을 다시 제작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관련 용어

  • MVP (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시장에 출시하여 사용자 피드백을 얻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을 갖춘 제품.
  • PoC (Proof of Concept): 개념 증명. 아이디어나 기술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는 과정 또는 결과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