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6,118건

스트렙토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은 토양 세균인 Streptomyces griseus에서 발견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의 항생 물질이다. 결핵 치료에 획기적인 공헌을 한 최초의 항생제 중 하나로, 그람 음성균에 효과적인 광범위 항생제이다.

역사

1944년 앨버트 샤츠(Albert Schatz)와 셀먼 왁스먼(Selman Waksman)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결핵균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어 결핵 치료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왁스먼은 스트렙토마이신 발견의 공로로 195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작용 기전

스트렙토마이신은 세균의 리보솜에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30S 리보솜 서브유닛에 결합하여 mRNA의 번역 과정에서 오독을 유발하고, 아미노산 서열이 잘못된 단백질을 생성하게 만든다.

사용

주로 결핵 치료에 사용되지만, 페스트, 야토병, 브루셀라증과 같은 다른 감염병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항생제와 병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부작용

스트렙토마이신은 신독성 및 이독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독성은 청력 상실이나 균형 감각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신독성은 신장 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렙토마이신 투여 시에는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알레르기 반응도 발생할 수 있다.

내성

스트렙토마이신에 대한 세균의 내성 발달은 주요 문제점 중 하나이다. 내성은 스트렙토마이신을 비활성화하는 효소 생성, 리보솜의 변형, 약물 흡수 감소 등 다양한 기전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내성균의 출현을 억제하기 위해 스트렙토마이신은 다른 항생제와 병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