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수관기피

정의: 수관기피는 물관(수도관)을 피하는 행위 또는 그 경향을 의미하는 용어로, 주로 건축, 토목 공학 분야에서 사용된다. 건물이나 구조물을 건설할 때, 지하에 매설된 수도관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거나, 파악하더라도 그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공사를 진행하여 발생하는 문제들을 통칭하는 비공식적인 용어이다. 이는 단순히 수도관을 피하지 못하는 것 뿐 아니라, 수도관의 손상을 최소화 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추가적인 비용 및 안전상의 위험을 포함한다.

원인:

  • 부정확한 지하 매설물 정보: 수도관 등 지하 매설물의 위치 정보가 부정확하거나, 최신 정보가 반영되지 않은 경우 발생한다. 오래된 지도나 자료를 사용하거나, 정보 관리 시스템의 부재가 원인이 될 수 있다.
  • 미흡한 현장 조사: 공사 현장에 대한 충분한 조사 없이 공사를 진행할 경우, 예상치 못한 수도관을 발견하게 되어 수관기피 문제가 발생한다. 지표 조사나 지중 탐사 등의 미흡한 조치가 원인이 된다.
  • 안전 불감증: 수도관 손상의 위험성을 간과하거나, 안전 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경우 발생한다. 공사 기간 단축을 위해 안전 절차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 설계 및 시공 과정의 부실: 건물이나 구조물의 설계 단계에서 수도관의 위치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거나, 시공 과정에서 수도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발생한다.

결과:

  • 수도관 파손: 수도관이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하고, 주변 지역에 물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 공사 지연 및 추가 비용: 수도관 파손으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고, 수리 및 복구 비용이 추가로 발생한다.
  • 안전사고: 수도관 파손으로 인해 작업자나 주변 사람들이 부상을 입을 수 있다.
  • 사회적 손실: 광범위한 물 피해 발생시 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예방 및 해결 방안:

  • 정확한 지하 매설물 정보 확보: 최신 지하 매설물 정보를 활용하고, 정기적인 정보 갱신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확보해야 한다.
  • 철저한 현장 조사: 지표 조사, 지중 탐사 등을 통해 수도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 안전 관리 강화: 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여 수도관 손상을 방지해야 한다.
  • 설계 및 시공 단계의 철저한 검토: 수도관의 위치를 고려한 설계 및 시공을 통해 수관기피 문제를 예방해야 한다.

참고: 수관기피는 공식 용어가 아니며, 관련 전문가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비공식적인 용어임을 명시한다. 실제 기술 문서나 보고서에서는 보다 정확하고 명확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