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3,051건

비구름

비구름은 대기 중 수증기가 응결되어 형성된 구름의 일종으로, 빗방울이나 눈송이 등 강수 현상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은 구름을 지칭한다. 특정 종류의 구름만을 지칭하는 용어는 아니며, 강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름을 포괄적으로 일컫는다.

특징

비구름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낮은 고도: 주로 대류권 하층부에 위치하며, 지표면과 가까운 곳에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 짙은 색: 수증기 함량이 높아 햇빛을 잘 투과시키지 못하므로 짙은 회색 또는 검은색을 띤다.
  • 불안정한 대기: 대기 불안정으로 인해 상승 기류가 활발하며, 이로 인해 구름이 빠르게 발달하고 강수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 다양한 형태: 층운형, 적운형, 층적운형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구름의 종류에 따라 강수 형태와 강도에 차이가 있다.

종류

비구름은 구름의 형태와 고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난층운 (Nimbostratus): 두꺼운 회색 또는 검은색의 층상 구름으로, 지속적인 비나 눈을 내리게 한다.
  • 적란운 (Cumulonimbus): 수직으로 높게 발달한 웅장한 구름으로, 강한 소나기, 천둥, 번개, 우박 등을 동반할 수 있다.
  • 층적운 (Stratocumulus): 회색 또는 흰색의 덩어리 모양 구름으로, 약한 비나 눈을 내리게 할 수 있다.

강수 과정

비구름은 대기 중 수증기가 응결핵을 중심으로 응결되어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을 형성하고, 이들이 성장하여 중력에 의해 낙하하면서 강수 현상을 일으킨다. 구름 내부의 온도와 습도, 상승 기류의 강도 등이 강수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관련 용어

  • 강수: 비, 눈, 우박, 진눈깨비 등 대기 중에서 지표면으로 떨어지는 모든 형태의 물.
  • 응결: 기체 상태의 물질이 액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
  • 응결핵: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응결될 때 중심 역할을 하는 작은 입자 (먼지, 소금 입자 등).
  • 대류: 유체 (기체 또는 액체) 내에서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물질의 흐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