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계
방계(傍系)는 어떤 혈통의 본 줄기에서 갈라져 나온 계통을 의미한다. 즉, 직계(直系) 혈족이 아닌, 형제자매, 삼촌, 고모, 조카, 이모, 외삼촌, 외조카 등과 같이 공동의 시조로부터 갈라져 나온 혈족 관계를 이르는 말이다. 주로 족보나 가계도에서 사용되며, 왕조 국가에서는 왕위 계승 서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방계 혈족은 직계 혈족에 비해 혈통의 순수성이 덜하다고 여겨지기도 하지만, 역사적으로 방계 출신이 왕위를 계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주요 특징:
- 공동 시조: 방계 혈족은 직계 혈족과 마찬가지로 공동의 시조를 가진다.
- 혈통 분리: 직계 혈족과는 달리, 시조로부터 갈라져 나온 다른 갈래의 혈통이다.
- 계승권: 왕조 국가에서 방계 혈족은 직계 혈족이 없을 경우 왕위 계승권을 가질 수 있다.
- 족보: 족보에서 방계 혈족은 본 줄기에서 가지를 쳐 나간 형태로 표시된다.
예시:
- 삼촌, 고모, 이모, 외삼촌 등은 부모님의 형제자매이므로, 자신에게는 방계 혈족이 된다.
- 왕조 국가에서 왕세자가 사망하고 직계 후손이 없을 경우, 왕의 형제나 조카 등 방계 혈족이 왕위를 계승할 수 있다.
관련 용어:
- 직계: 자신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혈통 (부모, 조부모, 자녀, 손자녀 등)
- 친족: 혈연, 인척 관계에 있는 사람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참고 자료:
- 민법 (친족 관련 조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