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장려운동
물산장려운동은 1920년대 초부터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전개된 민족 경제 자립 운동이다. 일본 상품의 소비를 줄이고 조선인 스스로 생산한 물품을 애용하여 민족 자본을 육성하고 경제적 독립을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가졌다.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자본의 조선 침투가 가속화되면서 조선 경제는 더욱 종속적인 구조로 편입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민족주의자들은 경제적 자립 없이는 정치적 독립도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민족 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특히 1920년 관세 철폐 이후 일본 상품의 유입이 급증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었고, 물산장려운동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전개 과정
1920년 평양에서 조만식 등이 주도하여 '조선물산장려회'가 조직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로 확산되었으며, '내 살림 내 것으로', '조선 사람 조선 것' 등의 구호를 내걸고 국산품 애용을 장려했다. 운동은 강연회, 전시회, 광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었으며, 여성 단체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국산품 장려에 힘썼다.
영향 및 한계
물산장려운동은 민족 의식을 고취하고 국산품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는 데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또한, 일부 민족 자본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도 있었다. 하지만 운동은 자본가 계층의 이익을 대변하고 노동자와 농민 등 대다수 민중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에는 미흡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고가의 국산품 가격은 저소득층에게 부담으로 작용했으며, 운동의 주도 세력이었던 자본가들의 이익 추구 경향도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일본 상품 불매 운동은 일본의 경제 보복을 야기하기도 했다.
의의
물산장려운동은 일제강점기 민족 운동의 중요한 흐름 중 하나로서, 민족 경제 자립이라는 목표를 제시하고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운동의 한계점 또한 분명하며, 다양한 계층의 이해관계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비판적인 시각으로도 평가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