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링크 서스펜션
멀티링크 서스펜션은 자동차 서스펜션 시스템의 한 형태로, 각 휠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세 개 이상의 링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과 함께 독립식 서스펜션의 대표적인 형태로 꼽히며, 차륜의 상하 운동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여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작동 원리
멀티링크 서스펜션은 여러 개의 링크와 부싱, 볼 조인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링크는 차체와 휠 캐리어(너클)를 연결하며, 휠의 상하 운동, 캠버 변화, 토 변화 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링크의 배치와 길이에 따라 다양한 운동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엔지니어는 이를 통해 특정 차량의 요구 사항에 맞는 최적의 서스펜션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장점
- 뛰어난 승차감: 휠의 움직임을 세밀하게 제어하여 노면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불필요한 진동을 줄여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합니다.
- 향상된 조종 안정성: 휠의 캠버 및 토 변화를 최적화하여 코너링 시 타이어의 접지력을 극대화하고,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여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확보합니다.
- 정밀한 설계 가능성: 링크의 배치와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운동 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 차량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스펜션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 NVH 성능 향상: 링크와 부싱의 조합을 통해 노면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켜 실내 정숙성을 높입니다.
단점
- 복잡한 구조: 여러 개의 링크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설계 및 제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 무게 증가: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에 비해 부품 수가 많아 무게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정비 복잡성: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정비 및 유지보수가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적용 분야
멀티링크 서스펜션은 주로 중형차 이상의 승용차, 스포츠카, SUV 등에 적용됩니다. 특히, 고급차량에서는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륜 및 후륜 서스펜션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차량의 특성과 설계 목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