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술농민봉기
임술농민봉기(壬戌農民蜂起)는 조선 철종 13년(1862년)에 전국적으로 발생한 대규모 농민 봉기이다. 흔히 '임술년 농민 봉기', '임술민란' 등으로도 불린다. 봉기의 직접적인 원인은 탐관오리의 수탈과 삼정(전정, 군정, 환곡)의 문란이었으며, 가뭄과 흉년까지 겹쳐 농민들의 생활은 극도로 어려워진 상황이었다.
봉기는 경상도 단성현에서 시작되어 진주민란을 기점으로 경상우도 전체로 확산되었다. 이후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등 전국 각지로 번져 나갔으며, 봉기 규모와 참여 인원 면에서 조선 후기 최대 규모의 농민 봉기였다.
주요 봉기 지역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진주민란: 유계춘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경상우도 전역으로 확산되는 기폭제 역할을 했다.
- 전라도 봉기: 나주, 흥양(고흥) 등지에서 발생했으며, 탐관오리 처벌과 세금 감면을 요구했다.
- 충청도 봉기: 청주, 문의 등지에서 발생했으며, 양반 지주에 대한 공격도 나타났다.
임술농민봉기는 조선 사회의 모순을 극명하게 드러낸 사건이었으며, 이후 정부는 박규수를 안핵사로 파견하여 민심을 수습하고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여 삼정 개혁을 시도했다. 하지만 근본적인 개혁에는 실패했으며, 이러한 사회적 불안은 고조되어 이후 동학농민운동의 배경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