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3,943건

리히터 규모

리히터 규모는 지진의 크기, 즉 방출된 에너지를 나타내는 척도 중 하나이다. 1935년에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리히터(Charles Richter)가 버노 구텐베르크(Beno Gutenberg)와 함께 개발했다.

개요 리히터 규모는 특정 진앙 거리(원래는 100km)에서 표준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최대 진폭을 측정하여 계산된다. 이는 로그 스케일(logarithmic scale)로, 규모가 1 증가할 때마다 지진파의 최대 진폭은 약 10배 증가하며, 지진이 방출하는 에너지는 약 32배 증가한다.

역사 및 개발 리히터 규모는 원래 캘리포니아 남부 지역의 지진을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당시에는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진도(intensity)만 있었는데, 이는 장소에 따라 피해 정도가 달라지는 주관적인 척도였다. 리히터와 구텐베르크는 지진 자체의 '크기'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했고, 지진파의 진폭을 이용한 규모 개념을 도입했다.

측정 방식 리히터 규모는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 중 특정 파형의 최대 진폭을 측정하고, 진앙까지의 거리를 보정하여 계산한다. 규모 L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초기 정의 기준): L = log₁₀(A/A₀) 여기서 A는 지진계에 기록된 최대 진폭이고, A₀는 특정 거리에서의 기준 진폭이다. 이 공식은 실제 계산 시에는 거리 감쇠 등을 고려하여 더 복잡해진다.

한계점 및 대체 리히터 규모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포화 현상: 규모 약 6.5~7 이상에서는 지진의 실제 크기가 커져도 규모가 더 이상 크게 증가하지 않는 포화 현상이 발생하여 대규모 지진의 에너지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
  • 지역적 특성: 원래 캘리포니아 지역에 맞춰 개발되어 다른 지역의 지진에 적용할 때 보정이 필요할 수 있다.
  • 심발 지진 측정의 어려움: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심발 지진을 측정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현대 지진학에서는 리히터 규모 대신 모멘트 규모(Moment Magnitude Scale, M_w)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규모 척도가 되었다. 모멘트 규모는 지진이 발생시킨 단층의 변위, 면적, 지층의 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하므로, 특히 대규모 지진의 실제 에너지를 더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현재 사용 리히터 규모는 여전히 비교적 작은 규모(대략 5 미만)의 지역 지진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일반 대중에게는 '리히터 규모'라는 이름이 지진 규모를 나타내는 대명사처럼 인지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