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트리버즈
로버트 트리버즈 (Robert Trivers) (1943년 11월 19일 ~ )는 미국의 진화 생물학자, 사회생물학자 및 진화 심리학자이다. 상호 이타주의, 부모 투자 이론, 성비 이론, 자기기만 등 진화론적 관점에서 인간 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공헌을 했다.
트리버즈는 뉴욕에서 태어나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 및 생물학을 전공하고, 1972년 같은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사회적 곤충의 진화에 관한 것이었다. 이후 하버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 럿거스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트리버즈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상호 이타주의 (Reciprocal Altruism): 1971년 발표한 논문에서 트리버즈는 상호 이타주의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는 혈연관계가 없는 개체 간에도 서로에게 이타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진화적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상호 이타주의는 "오늘 내가 당신을 도와주면, 나중에 당신이 나를 도와줄 것이다"라는 기대에 기반한다.
-
부모 투자 이론 (Parental Investment Theory): 1972년 발표한 논문에서 트리버즈는 부모 투자 이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은 자손에게 투자하는 부모의 투자량에 따라 배우자 선택과 번식 전략이 달라진다는 것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암컷은 수컷보다 더 많은 투자를 하기 때문에 배우자를 더 신중하게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
성비 이론 (Sex Ratio Theory): 트리버즈와 댄 윌러드는 1973년 발표한 논문에서 성비 이론을 발전시켰다. 이 이론은 부모가 자녀의 성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며, 이는 부모의 환경 조건과 자녀의 생존 및 번식 가능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
자기기만 (Self-Deception): 트리버즈는 자기기만이 다른 사람을 속이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스스로를 속임으로써 무의식적으로 연기를 개선하고 속임수의 탐지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트리버즈의 연구는 진화 생물학, 사회생물학, 진화 심리학, 경제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복잡한 인간 행동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했으며, 그의 이론은 여전히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