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7,474건

레이테 만 해전

레이테 만 해전(영어: Battle of Leyte Gulf)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4년 10월 23일부터 10월 26일까지 필리핀 레이테 섬 주변 해역에서 미합중국과 연합군 대 일본 제국 해군 간에 벌어진 대규모 해전이다. 이 해전은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해전 중 하나로 기록되며, 미군의 필리핀 탈환 작전(레이테 전투)을 지원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 전투의 결과 일본 제국 해군은 주력 함대의 대부분을 상실하며 사실상 궤멸 상태에 이르렀다.

배경

1944년 하반기, 미군은 태평양 전선에서 일본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며 필리핀 재탈환을 계획하고 있었다. 필리핀은 일본에게 동남아시아의 자원 수송로를 보호하는 전략적 요충지였으므로, 일본은 이 상륙 작전을 저지하기 위해 해군력을 총동원하기로 결정했다. 일본 연합함대는 미 상륙함대를 괴멸시키고 미 해군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쇼고(捷号) 작전'을 발동했다. 이 작전은 여러 방면에서 함대를 출격시켜 미군을 유인하고 포위 섬멸하는 복잡한 계획이었다.

전개

레이테 만 해전은 단일 전투가 아니라 여러 개의 개별 전투로 구성된다.

  • 팔라완 해협 해전 (10월 23일): 미 잠수함이 일본 쿠리타 함대의 중순양함 2척을 격침시키며 전투가 시작되었다.
  • 시부얀 해 해전 (10월 24일): 미 제3함대 소속 항공모함 함재기들이 쿠리타 함대를 공격하여 전함 [[무사시 (전함)|무사시]]를 침몰시키는 등 큰 피해를 입혔다.
  • 수리가오 해협 해전 (10월 25일): 레이테 만 남쪽에서 진입하려던 일본 니시무라 함대와 시마 함대가 미 제7함대의 집중 공격을 받았다. 특히 미군은 야간 전투에서 'T자 유리' 전술을 성공적으로 사용하여 일본 함대를 거의 전멸시켰다. 이 전투는 역사상 마지막 전함 간의 포격전으로 기록되기도 한다.
  • 엔가뇨 곶 해전 (10월 25일): 북쪽에서 미군을 유인하는 임무를 맡은 일본 오자와 함대(정규 항공모함 4척 포함)가 미 제3함대의 공격을 받았다. 오자와 함대는 항공모함 4척을 모두 잃으며 임무에 실패했지만, 홀시 제독이 이 함대를 추격하기 위해 주력을 북상시키면서 레이테 만 방어가 일시적으로 약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 사마르 해전 (10월 25일): 엔가뇨 곶으로 미끼를 쫓아 북상한 홀시 제독의 제3함대 주력과, 시부얀 해에서 후퇴하는 척하다 다시 남하한 일본 쿠리타 함대가 레이테 만 동쪽 사마르 섬 근해에서 조우했다. 소수의 미군 호위항공모함과 구축함, 구축함호위함으로 구성된 '태피 3'(Taffy 3) 기동함대가 일본의 주력 전함 및 순양함 부대에 맞서 필사적인 방어와 공격을 감행했다. 이 전투에서 미군은 큰 위험에 처했으나, 일본군의 혼란과 결정적인 순간의 퇴각으로 미군 상륙함대는 무사할 수 있었다. 이 전투 중 일본군은 최초로 조직적인 [[가미카제|가미카제]] 특공 공격을 감행하기도 했다.

결과 및 영향

레이테 만 해전은 미군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다. 일본 해군은 전함 무사시, 야마시로, 후소와 모든 정규 항공모함을 포함하여 다수의 순양함과 구축함을 상실했으며, 숙련된 조종사와 승조원의 손실도 막대했다. 이 해전으로 일본 연합함대는 주력 함대 전력이 사실상 궤멸되어 더 이상 미 해군에 맞서 대규모 작전을 수행할 능력을 완전히 상실했다.

이 해전의 결과는 태평양 전쟁의 종식을 앞당기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으며, 일본 제국 해군의 시대가 완전히 막을 내렸음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또한 항공모함이 해전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다시 한번 입증한 전투이기도 하다. 미군은 레이테 섬 상륙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며 필리핀 탈환의 교두보를 확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