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전
둔전 (屯田)은 농민에게 토지를 나누어주고 경작하게 하여 수확물의 일부를 군량으로 충당하거나 국가 재정 수입을 확보하는 제도이다. 주로 국가가 직접 운영하거나, 군부대에 경작을 위임하는 방식으로 시행되었다. 둔전은 국가의 재정 확보와 군량 조달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으며, 유휴지를 개간하여 농경지를 확대하는 효과도 가져왔다.
역사
둔전의 기원은 중국 한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군사 주둔지 주변의 황무지를 개간하여 군량을 자급자족하는 방식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위진남북조시대를 거치면서 더욱 발전하여 국가 재정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조선 시대에 들어와 더욱 확대되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삼남 지방을 중심으로 둔전이 크게 증가하여 국가 재정 확보에 기여했으나, 동시에 농민들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도 야기했다.
특징
- 군량 조달: 둔전에서 생산된 곡물은 주로 군량으로 사용되었다.
- 재정 확보: 국가가 직접 둔전을 운영하거나, 둔전세를 징수하여 재정을 확보했다.
- 유휴지 개간: 황무지나 버려진 토지를 개간하여 농경지를 확대했다.
- 농민 부담: 둔전 경작 농민은 일반 농민보다 더 많은 세금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 운영 방식: 국가 직영, 군부대 운영, 개인에게 위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관련 용어
- 둔전병: 둔전을 경작하는 군인.
- 둔전관: 둔전을 관리하는 관리.
- 양전: 둔전의 면적을 측량하는 일.
같이 보기
- 양전
- 조세 제도
- 군사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