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감
둔감은 감각이나 자극에 대한 반응이 정상보다 느리거나 약한 상태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타인의 감정이나 상황에 대한 공감 능력이 부족하거나, 사회적·도덕적 문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경우에도 사용된다.
1. 생리적 둔감:
- 정의: 신체 감각(촉각, 통각, 미각, 후각, 시각, 청각)에 대한 반응 역치가 높아, 일반적인 자극에 쉽게 반응하지 않는 상태.
- 원인: 신경계 손상, 약물 부작용, 특정 질환(당뇨병성 신경병증 등), 노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증상: 통증을 잘 느끼지 못하거나, 뜨겁거나 차가운 것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예시: 화상을 입었음에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거나, 맛을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
2. 심리적/정서적 둔감:
- 정의: 타인의 감정이나 고통에 대한 공감 능력이 부족하거나, 상황에 대한 적절한 정서적 반응을 보이지 않는 상태. 때로는 방어기제의 일환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원인: 트라우마 경험, 애착 문제, 성격 장애, 사회성 부족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증상: 타인의 어려움에 무관심하거나, 감정 표현이 서툴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반응을 보이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예시: 친구가 슬퍼하는 상황에서 위로하기보다 농담을 하거나, 사회적 문제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는 경우.
3. 사회적/도덕적 둔감:
- 정의: 사회적 규범이나 도덕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 능력이 저하된 상태.
- 원인: 교육 부족, 사회적 고립, 가치관 혼란, 사회 부조리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증상: 비윤리적인 행동을 하거나,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 의식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쉽게 믿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예시: 환경 오염 문제에 대해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불법 행위를 저지르고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
관련 용어: 무감각, 무관심, 공감 부족, 감정 불능증
참고 문헌: (관련 학술 자료 및 서적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