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장
된장은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콩을 발효시켜 만든다. 메주를 띄워 염수에 담가 발효시키는 과정을 거치며, 그 기간과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맛이 존재한다. 된장의 주요 재료는 콩이며, 콩의 종류, 메주의 제조 방법, 발효 기간, 염도, 그리고 사용하는 물의 종류와 수질 등에 따라 된장의 색깔, 맛, 향, 그리고 질감이 크게 달라진다.
종류
된장은 크게 메주를 띄우는 방법과 발효 과정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예를 들어, 장류의 종류로는 된장, 간장, 고추장 등이 있으며, 된장 자체에서도 재료에 따라 콩의 종류(대두, 콩의 품종)에 따른 분류가 있고, 발효 기간에 따라 숙성 기간이 짧은 청국장과 같은 종류와 숙성 기간이 긴 된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염도에 따라 짠 된장과 덜 짠 된장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제조방법에 따른 차이도 존재한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항아리에 담아 발효시키는 것과, 현대식 공장에서 대량 생산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이에 따라 맛과 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첨가물의 유무와 종류에 따라서도 맛이 다양해진다.
영양
된장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을 비롯해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효소와 유익한 미생물은 소화 흡수를 돕고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된장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은 항산화 작용을 하여 노화 방지 및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나트륨 함량이 높을 수 있으므로 과다 섭취는 주의해야 한다.
용도
된장은 한국 요리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재료이다. 찌개, 볶음, 장아찌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그 풍부한 맛과 향은 음식의 감칠맛을 더해준다. 된장찌개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국물 요리 중 하나이며, 된장을 이용한 볶음 요리 또한 다양하게 존재한다. 또한, 된장은 그 자체로도 훌륭한 반찬이 될 수 있다.
역사 및 문화
된장은 한국의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 발효 식품으로, 농경 사회부터 현재까지 한국인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된장은 단순한 식품을 넘어 한국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된장 종류가 존재하여 지역 문화를 반영하기도 한다. 된장 만들기는 오랜 시간과 노하우를 필요로 하는 전통 기술이었으며, 가족과 공동체의 중요한 활동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