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동학

동학(東學)은 19세기 조선 후기에 최제우(崔濟愚, 1824~1864)가 창시한 종교이자 사회 운동이다. 서학(西學), 즉 천주교에 대항하여 '동쪽의 학문'이라는 의미로 명명되었다. 동학은 유교, 불교, 도교 등 전통적인 사상에 기반하여 민족 고유의 신앙을 융합한 새로운 사상 체계를 제시하며, 억압받던 농민층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주요 교리

  • 인내천(人乃天):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사상으로,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강조한다. 이는 신분제 사회 질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다.
  • 시천주(侍天主): 하느님을 모신다는 의미로, 모든 사람 안에 하느님이 내재되어 있다고 믿는다.
  • 보국안민(輔國安民): 나라를 돕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는 의미로,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강조한다.
  • 척왜양창의(斥倭洋倡義): 일본과 서양 세력을 배척하고 의를 드높인다는 의미로, 외세의 침략에 대한 저항 의식을 드러낸다.

역사

동학은 창시 이후 교세를 확장하며 사회 변혁을 요구하는 농민들의 지지를 얻었다. 1894년에는 고부 군수 조병갑의 폭정에 항거하여 일어난 고부 민란을 계기로 동학농민운동이 발발하였다. 동학농민운동은 봉건 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고 사회 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했으나, 외세의 개입으로 실패하였다. 이후 동학은 천도교로 개칭되어 종교 활동을 이어갔으며, 민족 운동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하였다.

영향

동학은 한국 근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간 평등 사상을 확산시키고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후 민족 운동의 중요한 정신적 기반이 되었다. 또한, 동학농민운동은 갑오개혁의 단초를 제공하고 사회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