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501건

동조

동조 (conformity)는 사회심리학에서 개인이 집단이나 사회의 규범, 가치, 태도, 행동에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을 일치시키려는 경향을 의미한다. 이는 명시적인 압력 없이도 발생할 수 있으며, 암묵적인 사회적 영향력의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동조의 유형

동조는 크게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순응 (Compliance): 외부의 압력에 의해 겉으로는 동의하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의견이나 신념과 다를 수 있다. 이는 처벌을 피하거나 보상을 얻기 위한 전략적인 행동일 수 있다.
  • 동일시 (Identification):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존경심이나 매력 때문에 그들의 의견이나 행동을 따르는 경우이다. 이 경우, 일시적으로는 내면적으로도 동의하지만, 그 대상에 대한 매력이 사라지면 동조 행동도 약화될 수 있다.
  • 내면화 (Internalization): 집단의 의견이나 행동이 자신의 신념 체계와 일치한다고 믿어 진심으로 받아들이는 경우이다. 가장 깊은 수준의 동조이며, 개인의 가치관과 통합되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

동조의 요인

동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며, 개인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 개인적 요인: 자존감, 자신감, 사회적 지위, 개인주의 성향 등이 동조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자존감이 낮거나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은 다른 사람의 의견에 더 쉽게 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 상황적 요인: 집단의 크기, 응집력, 만장일치 여부, 정보의 모호성 등이 동조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응집력이 강할수록, 만장일치된 의견일수록 동조 압력이 강해진다. 또한, 상황이 모호하거나 정보가 부족할 때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참고하여 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동조의 긍정적 및 부정적 측면

동조는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협력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때로는 맹목적인 추종이나 집단 사고를 야기하여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사회 규범 준수, 갈등 감소, 협력 증진 등을 들 수 있으며,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창의성 저해, 비판적 사고 억압, 부당한 권위에 대한 복종 등을 들 수 있다.

동조 연구의 대표적인 예시

  • 애쉬의 동조 실험 (Asch conformity experiment): 선분의 길이를 비교하는 간단한 시각 과제를 통해 집단의 압력이 개인의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했다.
  • 밀그램의 복종 실험 (Milgram experiment): 권위에 대한 복종 심리가 극단적인 상황에서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같이 보기

  • 사회심리학
  • 집단 사고
  • 복종
  • 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