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사
돌연사 (突然死, Sudden death)는 겉으로는 건강해 보이는 사람이 예기치 않게, 대개 증상 발현 후 1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것을 의미한다. 넓게는 24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도 포함하기도 한다.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심혈관 질환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정의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의에 따르면, 돌연사는 "질병을 앓고 있던 환자에게서 예상치 못한 급작스러운 사망"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증상 발생 후 1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를 돌연사로 정의하지만, 목격자가 없는 경우에는 24시간 이내에 발생한 예상치 못한 사망을 돌연사로 간주하기도 한다.
원인
돌연사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심혈관 질환이다. 특히, 허혈성 심장 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등)으로 인한 부정맥이 돌연사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심근병증, 선천성 심장 질환, 판막 질환, 심부전 등이 돌연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심혈관 질환: 허혈성 심장 질환, 심근병증, 부정맥 유발성 우심실 이형성증 (ARVC), 브루가다 증후군, 긴 QT 증후군 등
- 뇌혈관 질환: 뇌출혈, 뇌경색, 지주막하 출혈 등
- 호흡기 질환: 폐색전증, 급성 호흡 부전 등
- 기타: 약물 남용, 과도한 운동, 탈수, 급격한 체온 변화, 희귀 유전 질환 등
위험 요인
돌연사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나이: 중년 이후
- 성별: 남성
- 가족력: 돌연사 가족력
- 기저 질환: 심혈관 질환,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
- 흡연, 음주, 비만: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
- 스트레스: 과도한 스트레스
예방
돌연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험 요인을 줄이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정기적인 건강 검진: 심혈관 질환 등의 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
- 건강한 생활 습관: 금연, 절주,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단
- 스트레스 관리: 적절한 휴식과 취미 활동
- 심폐소생술 교육: 응급 상황 발생 시 대처 능력 향상
응급 처치
돌연사로 의심되는 상황 발생 시 즉시 119에 신고하고,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심폐소생술은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 자동 심장 충격기(AED)가 있다면 사용법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