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무지덧널무덤
돌무지덧널무덤은 고대 한국의 무덤 양식 중 하나로, 돌무지를 쌓아올리고 그 내부에 덧널을 설치하여 시신을 안치하는 무덤이다. 주로 삼국시대, 특히 신라에서 많이 축조되었으며, 고구려와 백제에서도 그 흔적이 발견된다.
특징
- 구조: 돌무지덧널무덤은 크게 돌무지, 덧널, 봉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지면을 다진 후 덧널을 만들고 그 안에 관을 안치한다. 덧널은 나무로 만들어지며, 때로는 석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덧널 주변과 위에는 돌을 쌓아 돌무지를 형성하며, 돌무지 위에는 봉분을 덮어 완성한다.
- 돌무지: 돌무지는 무덤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도굴을 방지하고 무덤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돌의 크기와 쌓는 방식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 덧널: 덧널은 시신과 껴묻거리를 안치하는 공간이다. 덧널의 규모와 재료는 피장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 껴묻거리: 무덤 내부에는 피장자의 생전 생활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껴묻거리가 함께 묻힌다. 금관, 장신구, 무기, 토기 등이 대표적이며, 이를 통해 당시 사회의 문화와 기술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분포 및 중요성
돌무지덧널무덤은 주로 경주를 중심으로 한 신라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며, 고구려의 적석총, 백제의 굴식돌방무덤과 함께 삼국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으로 꼽힌다. 돌무지덧널무덤은 당시 사회의 계급 구조, 장례 풍습, 예술 수준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고대사 연구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