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7,456건

돌림근띠 근육

돌림근띠 근육(Rotator cuff muscles)은 어깨 관절을 둘러싸고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여러 개의 근육과 힘줄로 이루어진 해부학적 구조이다. 이 근육들은 어깨뼈(견갑골)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상완골)의 머리 부분에 부착되며, 어깨 관절의 움직임 특히 회전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돌림근띠를 구성하는 주요 근육은 네 가지이며, 각기 어깨뼈의 특정 부위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의 결절에 부착된다.

해부학

돌림근띠는 다음 네 가지 근육으로 구성된다:

  • 가시위근 (극상근, Supraspinatus): 어깨뼈의 가시위窩(견갑골극 상와)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의 큰결절(대결절) 상부에 부착된다. 주로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외전)을 시작하는 데 관여하며, 특히 처음 15도까지의 외전을 보조한다.
  • 가시아래근 (극하근, Infraspinatus): 어깨뼈의 가시아래窩(견갑골극 하와)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의 큰결절 중앙부에 부착된다. 팔을 가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외회전)의 주된 근육 중 하나이다.
  • 작은원근 (소원근, Teres minor): 어깨뼈의 가쪽 모서리(견갑골 외측연)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의 큰결절 하부에 부착된다. 가시아래근과 함께 팔의 가쪽 회전에 기여하며, 어깨 관절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 어깨밑근 (견갑하근, Subscapularis): 어깨뼈의 앞면(견갑골 전면의 견갑하와)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의 작은결절(소결절)에 부착된다. 팔을 안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내회전)의 주된 근육이다.

이 네 근육의 힘줄은 어깨 관절의 관절주머니(관절낭) 주변을 띠 형태로 감싸고 있어, 어깨뼈와 위팔뼈 머리를 견고하게 연결하며 관절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기능

돌림근띠 근육의 주된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관절 안정성: 위팔뼈 머리가 어깨뼈의 오목한 관절와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잡아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는 팔을 움직일 때 위팔뼈 머리가 미끄러지거나 탈구되는 것을 방지한다.
  • 어깨 회전: 가시아래근, 작은원근, 어깨밑근은 각각 팔의 가쪽 회전(외회전)과 안쪽 회전(내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 팔의 외전 보조: 가시위근은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외전)을 시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정교한 움직임: 돌림근띠 근육들은 상호 협력하여 어깨 관절의 넓은 가동 범위 내에서 정교하고 힘있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임상적 중요성

돌림근띠 근육과 힘줄은 어깨의 과도한 사용, 반복적인 동작, 외상, 노화 등으로 인해 손상되기 쉬운 부위이다. 돌림근띠에 발생하는 흔한 질환으로는 돌림근띠 힘줄염(건염), 점액낭염, 부분 또는 완전 파열 등이 있다. 이러한 손상은 어깨 통증, 움직임의 제한, 근력 약화 등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돌림근띠 질환의 진단과 치료는 어깨 기능 회복에 매우 중요하다.